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혜근

본문

한자1
[惠勤]
한자2
뜻(설명)
(1320~1376) 고려시대 승려. 처음 이름은 원혜(元惠), 호는 나옹(懶翁), 당호는 강월헌(江月軒)이며 속성은 아(牙)씨로 영해(寧海) 사람이다. 20세 때 이웃 동무가 죽는 것을 보고, 죽으면 어디로 가는지를 어른들에게 물었으나 아는 이가 없으므로 비통한 생각을 품고, 공덕산 묘적암의 요연(了然)을 찾아가 출가하였다. 요연이 “여기 온 것은 무슨 물건이냐?”라고 묻자, 혜근은 “말하고 듣고 하는 것이 왔거니와 보려 하여도 볼 수 없고, 찾으려 하여도 찾을 수 없습니다. 어떻게 닦아야 하겠습니까?”라고 답했다. 요연은 “나도 너와 같아서 알 수 없으니, 다른 스님께 가서 물어라.”라고 하였다. 그리하여 스님은 그곳을 떠나서 여러 곳으로 돌아다니다가, 1344년 양주 회암사에서 4년 동안 좌선하여 깨달은 바가 있었다. 중국 원나라 북경(北京)에서 지공(指空)을 뵙고 계오(契悟)한 바 있었고, 2년 동안 공부하였다. 다시 남쪽으로 가서 평산처림(平山處林)으로부터 법의(法衣)와 불자(拂子)를 받았다. 복룡산에서 천암(千巖)의 선실(禪室)에 들어갔고, 사방으로 다니면서 선지식을 찾은 뒤에, 다시 북경으로 돌아와 지공의 법의와 불자를 전해 받았다. 칙명으로 대도(大都)의 광제선사에 있다가 1358년 귀국하여 가는 곳마다 법을 설하였다. 1360년에는 오대산에 들어갔는데, 공민왕이 청하여 내전에서 그의 법요를 듣고 신광사에 머물게 하였다. 1371년 왕사가 되고, ‘대조계선교도총섭근수본지중흥조풍복국우세보제존자(大曹溪禪敎都總攝勤修本智重興祖風福國祐世普濟尊者)’의 호를 받았다. 뒤에 회암사를 크게 중건하고, 문수회(文殊會)를 열어 낙성(落成)하였다. 1376년(우왕 2) 왕명을 받아 밀양의 영원사로 가다가 여주 신륵사에서 세수 57세, 법랍 38세로 입적하였다. 시호는 선각(禪覺). 이색(李穡)이 글을 지어 세운 비와 부도가 회암사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