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혜명

본문

한자1
[慧明]
한자2
뜻(설명)
1) 고려시대 승려. 968년(광종 19) 은진(恩津) 반야산(般若山)에 큰 돌이 땅에서 솟아나는 것을나물 캐던 여자가발견하여 나라에서 이것을 알고 그 돌로 불상을 조상하기로 결정했다. 온 나라에 사람을 보내어 조상할 장인을 구했다. 혜명이 지원하고 나서서, 공장 백여 명을 감독하여 970~1006년의37년 동안 높이 55척 5촌 되는 거대한 미륵상을 완성하였다. 그러나 완성된 불상을 세우지 못하고 있던 차에, 동자 2명이 진흙으로 불상을 만들며 노는 것을 보았다. 삼등분으로 된불상을 만들어 먼저 땅을 평평하게 한 다음 그 본(本)을 세운 뒤 모래를 쌓고, 그 중간을 끌어올려 세우고 마지막 부분까지 세웠다. 이에 깨우침을얻어 그와 같은 방법을 사용해 불상을 일으키는 것에 성공하였다. 이때 동자들은 문수(文殊)와 보현(普賢)의 화현이라고 한다. 이것이 은진 미륵불(국보)이다. 지금 충청남도 논산시관촉동 관촉사에 있다. 2) (1861~1937) 구한말 승려. 호는 혜월(慧月), 속성은 신(申)씨로 예산(禮山) 사람이다. 11세에 덕산 정혜사의 안수좌(安首座)를 찾아가 출가하였다. 24세에 경허(鏡虛)에게 보조국사 『수심결(修心訣)』을 듣고 깊은 뜻을 깨닫고, 41세에 그의 법을 받았다. 48세부터 도리사, 파계사 성전암, 울산 미타암, 통도사 극락암, 천성산 내원사 등으로 다니면서 종풍을 크게 선양하였다. 61세에 부산 선암사에 주지를 역임하면서 산지를 개답(開畓)하고, 후에 부산 안양암에서 세수 77세로 입적하였다. 언제나 보시행을 했으며, 꾸미는 일이 없고 탐욕이 끊어진 근래의 희유한 선지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