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소
본문
한자1
[慧昭]
한자2
ⓢ
ⓟ
ⓣ
뜻(설명)
(774~850) 신라시대 승려. 속성은 최(崔)씨, 전주(全州) 금마(金馬) 출신으로 부모를 일찍 여의고, 불법을 구하려는 뜻이 간절하였다. 804년 배를 타고 당나라 창주(滄州)의 신감(神鑑)을 찾아가 출가하니, 얼굴이 검다 하여 흑두타(黑頭陀)라 하였다. 910년 숭산 소림사에서 구족계를 받고, 앞서 당나라에 가 있던 도의(道義)를 만나 함께 다녔는데 도의는 먼저 귀국하였다. 혜소는 종남산에서 3년 동안 지관을 닦은 뒤에 길거리에서 짚신을 만들어 3년 동안 오가는 사람들에게 보시하였다. 830년 귀국하여 상주 노악산의 장백사(長栢寺)에 있다가 지리산으로 가서 화개곡의 삼법화상(三法和尙) 난야의 옛터에 사찰을 짓고 머물렀다. 838년 민애왕이 즉위하여 만나기를 청하였으나 응하지 않으므로 다시 사신을 보내어 혜조(慧照)라 호를 올리고, 서울로 오도록 하였으나 가지 않았다. 후에 남령에 사찰을 짓고 옥천사(玉泉寺)라 하고, 육조(六祖)의 영당을 세웠다. 신라 문성왕 12년 세수 77세, 법랍 41세로 입적하였다. 헌강왕이 시호를진감선사(眞鑑禪師)라 하고, 탑호를 대공영탑(大空靈塔)이라 하였다. 정강왕 때 옥천사를 쌍계사라 고치고, 최치원에게 글을 짓게 하고 세운 진감국사비(국보)가 지금 경상남도 하동군 쌍계사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