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혜심

본문

한자1
[慧諶]
한자2
뜻(설명)
1178~1234) 고려시대 승려. 호는 무의자(無衣子), 자는 영을(永乙). 속성은 최씨이며, 나주(羅州) 화순현(和順縣) 사람이다. 1201년(신종 4) 진사에 급제하고 태학에 들어갔으나, 어머니의 병으로 고향에 돌아가 약을 달이면서 정성을 다해 병간호를 하다가 관불삼매(觀佛三昧)에 드니 어머니의 병이 나았다. 이듬해 어머니가 타계하자 조계의 보조국사 지눌에게 출가하였다. 오산에서는 큰 바위에 앉아서 밤낮으로 선정을 닦으면서 오경(五更)이 되면 게송을 읊으니, 그 소리가 10리 밖에까지 들렸다. 지리산의 금대암에서는 대 위에서 좌선할 때 눈이 내렸는데 이마가 묻힐 때까지 움직이지 않았다.사람들이 아무리 흔들어도 대답하지 않더니 마침내 깊은 뜻을 깨달았다. 1208년 보조국사가 법석(法席)을 전해주려 하였으나, 굳이 사양하고 지리산에 들어가 수년 동안 자취를 끊었다. 1210년 보조국사가 입적하자 칙명으로 법석을 이어받고 개당(開堂)하였다. 학인들이 사방에서 구름같이 모여들어 선사(禪社)가 좁으므로 왕이 명하여 크게 짓고, 법요를 묻자 『심요(心要)』를 지어 올렸다. 고종이 즉위한 뒤에 선사가 되고 이후 다시 대선사가 되니, 선석(選席)에 뽑히지 않고 승질(僧秩)에 오른 이는 혜심이 처음이었다. 1219년 단속사(斷俗寺)에 있었고, 1234년(고종 21) 병이 들어 월등사로 옮겼다가 세수 57세, 법랍 32세로 입적하였다. 시호는 진각국사(眞覺國師). 탑호는 원조(圓炤). 현재 승주군 송광사에 비가 있다. 저서로는 『선문강요(禪門綱要)』 1권, 『선문염송(禪門拈頌)』 30권, 『심요』 1편, 『조계진각국사어록(曹溪眞覺國師語錄)』 1권, 『구자무불성화간병론(狗子無佛性話揀病論)』 1편, 『무의자시집(無衣子詩集)』 2권, 『금강경찬(金剛經贊)』 1권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