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혜원

본문

한자1
[慧遠]
한자2
뜻(설명)
1) (335~417) 중국 동진시대 승려. 여산(廬山) 백련사(白蓮社) 개조(開祖)이다. 안문(雁門) 누번(樓煩) 사람으로 13세에 이미 6경을 연구했으며, 특히 노장학에 정통하였다. 21세에 향산정 도안(道安)을 찾아가서 수행 정진하다가 전진 373년(건원 9) 부비(苻丕)가 양양(襄陽)을 공격하여 도안을 데리고 돌아가자, 제자 수십 인과 함께 남형주로 갔다. 그 후 나부산(羅浮山)으로 가는 길에 여산을 지나다가, 그곳에 혜영(慧永)의 힘을 빌려 동림사(東林寺)를 짓고 있으면서, 그의 덕을 사모하여 모여온 사람들 123인과 함께 백련사(白蓮社)를 창설하고 염불 수행을 하였다. 이때의 염불 수행은 『반주삼매경(般舟三昧經)』에 입각한 견불삼매(見佛三昧)의 염불이었다. 이로 인해 훗날 혜원류, 자민삼장(慈民三藏)류, 도탁선도류로 나뉘는 중국의 정토 3류 가운데 하나로 평가된다. 혜원은 30년 동안 여산에 있으면서 법정(法淨)법령(法領) 등을 멀리 서역으로 보내어 범본을 구하게 하였다. 또한 계빈국 승려 승가제바(僧伽提婆)에게 청하여 『아비담심론』『삼법도론』등을 다시 번역하였다. 담마유지(曇摩流支)에게 청하여 『십송률』을 완전히 번역하는 등 당시 불교계에 큰 공헌을 하였다. 416년(의희 13년) 세수 83세로 입적하였다. 당나라 선종이 변각대사(辨覺大師)라 시호를 올리고, 송나라 태종은 원오대사(圓悟大師)라 시호하였다. 저서로는 『대지도론요략(大智度論要略)』20권, 『문대승중심의십팔과(問大乘中深義十八科)』3권, 『사문불경왕자론(沙門不敬王者論)』, 『법성론(法性論)』 2권, 『사문단복론(沙門袒服論)』 1권 등이 있다. 2) (523~592) 중국 수나라 때 정영사(淨影寺) 승려. 속성은 이(李)씨이며, 돈황군(燉煌郡) 사람이다. 13세 택주(澤州) 동산 고현곡사에서 출가하였다. 승사(僧思)에게 교를 배우고, 16세에 잠(湛)대은(大隱)광통(光統) 등의 여러 율사에게 삼장을 배웠다. 577년 북주(北周) 무제가 불교를 배척하는 명을 내리므로, 그 옳지 못함을 간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급군(汲郡)의 서산에 숨어 있으면서 경을 읽고, 선정을 닦으며 세월을 보냈다. 훗날 수나라 문제가 중국을 통일하고, 불교와 유교를 부흥시킬 때 혜원을 위해 정영사(淨影寺)를 짓고, 강설하는 법석을 열게 하여 대우하였다. 수 개황 12년 칙명으로 역경 사업을 주관하다가, 같은해 정영사에서 세수 70세로 입적하였다. 저서로는 『지지소(地持疏)』 5권, 『십지소(十地疏)』 10권, 『화엄소(華嚴疏)』7권, 『대승의장(大乘義章)』 14권, 『무량수경소(無量壽經疏)』 2권, 『관무량수경소』 2권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