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극락암

본문

한자1
[極樂庵]
한자2
뜻(설명)
1)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천연동 금화산에 있던 사찰. 1894년(고종 31) 우민(愚敏)이 창건. 2)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리 칠현사에 있는 사찰. 미타암이라고도 한다. 칠장사(七長寺)에 속한 암자. 3) 인천시 강화군 혈구산에 있던 사찰. 4) 전라남도 완주군 용진면 아중리 부흥산에 있는 사찰. 5) 전라북도 남원시 양림길에 있는 사찰.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화엄사의 말사이다. 문화재로는 ‘남원 극락암석조무량음성왕불좌상 및 복장유물 일괄(南原極樂庵石造無量音聲王佛坐像 및 腹藏遺物一括, 전라북도 유형문화재)’과 고려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조 여래입상이 있다. 6) 경상남도 창녕시 창락면 옥천리 영추산에 있는 사찰. 1742년(영조 18) 월하(月河)가 창건. 7)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화왕산에 있는 사찰. 관음사의 부속 암자. 8)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영축산에 있는 사찰. 통도사의 부속 암자. 9) 경상남도 거창군 영추산에 있던 사찰. 10)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가야산에 있는 사찰. 해인사의 부속 암자. 극락전이라고도 한다. 11) 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대곡리 망운산에 있는 사찰. 화방사의 부속 암자. 12) 부산시 금정구 청룡동 금정산에 있는 사찰. 범어사의 부속 암자. 13)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재약산에 있는 사찰. 표충사의 부속 암자. 서상암(西上庵)이라고도 한다. 14)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팔음산에 있는 사찰. 1913년에 창건되었으며,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직지사의 말사이다. 주변에 금돌성이 현존하며, 진불암, 보문암, 용문사 등의 옛 사지가 남아 있다. 15)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학가산에 있는 사찰. 광흥사의 부속 암자. 16)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금곡동 황학산에 있는 사찰. 용담사의 부속 암자. 17)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내지리 소백산에 있는 사찰. 용문사의 부속 암자. 18) 강원도 평창군 미탄면 평안리 태백산에 있는 사찰. 19)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에 있는 사찰. 건봉사의 부속 암자. 945년(혜종 2) 창건. 조선 1878년(고종 15) 불타고, 1881년 봉직(奉直)이 중건. 20) 강원도 양양군 설악산 신흥사의 부속 암자. 21)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백담사의 부속 암자. 22) 강원도 회양군 금강산 장안사 왼쪽에 있던 사찰. 23) 함경남도 함흥시 회상구역 설봉산에 있는 사찰. 귀주사의 부속 암자. 24) 함경북도 회령시 인계리 오대산에 있는 사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