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호마

본문

한자1
[護摩]
한자2
homa
뜻(설명)
호마(護魔呼摩)라고도 음역하며, 화제사법(火祭祀法)이라 번역하는데, 분소(焚燒)화제(火祭)화법(火法)의 뜻을 가진다. 밀교의 수행법으로 불을 피워 불 속에 물건을 던져 넣어 공양하고 기원하는 일을 말한다. 이 호마는 인도에서 옛적부터 행하던 작법으로, 천상의 신장에게 공양할 물건을 올릴 때 이것을 불에 던져 태우면 연기가 되어 하늘에 올라가서 신에게 이른다고 하는 원시적인 신앙에서 생겨난 의식이다. 사화외도(事火外道)라 하여 후세에까지 행해졌으며, 이 신앙을 불교에서 받아들여 다시 깊은 뜻을 붙여서 행하게 된 것이 밀교의 호마법이다. 이에 내호마와 외호마의 구별이 있어서 형식은 외도와 비슷하나, 이것을 행하는 정신은 크게 다르다. 단을 만들고 화로를 마련하여 호마목을 태우는 것을 외호마 또는 사호마(事護摩)라 하고, 의식이나 작법에 의하지 않고 오로지 관념상으로 수행하는 것을 내호마 또는 이호마(理護摩)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