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구
본문
한자1
[混丘]
한자2
ⓢ
ⓟ
ⓣ
뜻(설명)
(1250~1322) 고려시대 승려. 옛 이름은 청빈(淸玢), 자는 구을(丘乙), 속성은 김씨로 청풍(淸風) 사람이다. 10세에 무위사의 천경(天鏡)을 찾아가출가하여 구산(九山)의 선과(禪科)에 뽑혀 상상과(上上科)에 수석으로 급제하였다. 출세를 단념하고 보각일연(普覺一然)을따라 공부하다가, 그 뒤를 이어받아 강석을 열었다. 충렬왕 때 대선사(大禪師), 충선왕 때 양가승통(兩街僧統), 충숙왕 때 왕사(王師)를 지냈다. 수년 후에 밀양의 영원사로 갔다. 이 사찰은 본래 선원으로 1295년쯤에 천태종에 속했다가, 다시 복구되어 선원이 된 사찰이다. 여기서 충숙왕 9년에 송림사로 옮겼다가 이 해에 세수 73세, 법랍 63세로 입적하였다. 시호는 보감국사(寶鑑國師)이며, 탑호는묘응(妙應)이다. 중국 몽산의 이(異) 선사가 『무극설(無極說)』을 지어, 스님에게 보내오자, 그 뜻을 알아차리고 무극노인(無極老人)이라 스스로 이름하였다. 저서로는 『어록』 2권, 『가송잡저(歌頌雜著)』 2권, 『신편수륙의문(新編水陸儀文)』 2권, 『중편염송사원(重編拈頌事苑)』 30권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