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수
본문
한자1
[混脩]
한자2
ⓢ
ⓟ
ⓣ
뜻(설명)
(1320~92) 고려시대 승려. 호는 환암(幻庵), 자는 무작(無作) 또는 요원(了圓)이다. 속성은 조(趙)씨로 풍양현(豊壤縣) 사람이다. 대선사(大禪師) 계송(繼松)을 찾아가 출가하여 내외의 경전을 배웠다. 1341년 선시(禪試)에서 상상과(上上科)에 급제하였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자리에 오르지 않았다. 금강산에서 2년 동안 마음 밝히는 공부를 하다가, 늙은 어머니를 위하여 경산에서 5~6년을 지냈다. 어머니가 세상을 뜨자 『대자법화경(大字法華經)』을 써서 어머니의 명복을 빌었다. 선원사의 식창감(息彰鑑)에게 『능엄경(楞嚴經)』을 배우고, 충주 청룡사의 서북쪽에 연회암(宴晦庵)을 짓고 지냈다. 공민왕이 회암사에 있게 하였으나 가지 않았다. 오대산 신성암에 있으면서 고운암의 나옹(懶翁)에게 도의 요지를 물었는데, 나옹은 뒤에 금란가사(金襴袈裟), 상아불(象牙拂), 산형장(山形杖)을 주었고 이를 표신으로 삼았다고 한다. 왕이 또 궐내로 불렀으나, 중도에서 도피하여 산속으로 자취를 감추었다. 1370년 나라에서 공부선장(工夫選場)을 열고 나옹이 선교의 납자들을 시취(試取)할 때, 나옹의 한마디에 여러 납자가 대답하지 못하고 오직 이 혼수만이 답하여 합격했으나 또 도피하여 위봉산에 숨었다가, 뒤에 왕명으로 불호사에 있게 되었다. 왕이 내불당(內佛堂)으로 청하여 자주 법요(法要)를 묻기도 하였다. 우왕 때 송광사에 옮기고, 1383년 국사가 되었으며, 대조계종사선교도총섭오불심종흥자운비복국이정묘화무궁도대선사정변지웅존자(大曹溪宗師禪敎都總攝悟佛心宗興慈運悲福國利正妙化無窮都大禪師正遍知雄尊者)라 호하였다. 공양왕 말년에 세수 73세, 법랍 60세로 입적하였다. 글과 글씨에 능하였다. 비와 탑이 충주 청룡사 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