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법
본문
한자1
[弘法]
한자2
ⓢ
ⓟ
ⓣ
뜻(설명)
1) 교법을 넓힘. 포교홍교선교전교와 같은 의미이다. 2) 고려시대 승려. 12세에 출가하였고, 930년(경순왕 4)에 마하갑단(摩訶岬檀)에서 구족계를 받았다. 성종 때 대선사(大禪師), 목종 때 원광변조국사(圓光遍照國師)의 호를 받았다. 왕의 청으로 봉은사에 머무르다가 만년에 충주 개천산 정토사에 있다가 입적하였다. 시호는 홍법(弘法), 탑호는 실상(實相). 1017년 세운 비가 정토사 터에 있던 것을 서울 경복궁 박물관으로 옮겼다. 비는 손몽주(孫夢周)가 지었으며, 대송고려국중원부개천산정토사원광변조홍법대선사(大宋高麗國中原府開天山淨土寺圓光遍炤弘法大禪師)라 썼다. 글자는 대부분이 갈려 없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