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홍법우

본문

한자1
[弘法友]
한자2
뜻(설명)
《홍법우》는봉선사 홍법강우회(弘法講友會)에서 1938년 3월 12일에 펴낸 잡지이다. 현재 《홍법우》 1호, 즉 창간호만 전해지고 그 후에도 계속 간행되었는지는확인할 수 없다. 홍법강우회는 봉선사 홍법강원의 재학생들로 구성된 모임이었으며, 홍법우는 봉선사 강원 학우의 통칭이었다고 한다. 홍법강원은 봉선사 주지로 있던 홍월초(洪月初)가 1934년에 입적하면서 남긴 ‘유촉(遺囑)’에 의하여 1936년 설립되었으나, 1943년 일제의 탄압으로 폐문(閉門)하였다고 한다. 이 잡지의 발행겸 편집인은 홍법강우회의 문예부 위원이었던 이재복(李在福)이었으며, 잡지의 말미에 비매품(非賣品)이라고 전한 것을 보면 《홍법우》는 사찰 등지에 무료로 배포한 것 같다. 홍법강우회는 《불교시보(佛敎時報)》 71호(1941. 6. 15)에 그 단체명이 전하는 것을 보면 1941년까지는 명맥을 유지하였으며 1943년 강원이 폐문할 때까지는 존속한 것으로 보인다. 이 잡지는 봉선사 평의원회에서 지원한160원의 자금으로 간행되었으며, 홍법강원의 기관지 성격을 갖고 있었다. 홍법강우회에서 《홍법우》를 간행하면서 전선강원(全鮮講院)의 기관지를 펴낼 것을 기대한다고 한 것에서는 당시 여타의 강원 및전국적인 기관지 발간이 없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1928년 3월, 전국 학인들은 각황사에서 조선불교학인대회(朝鮮佛敎學人大會)를개최하여 강원교육의 재정비를 통한 불교 발전을 기하였다. 그 대회는 이운허, 이순호(청담) 등이 주도하여 개최되었는데, 당시 전국 강원의 학인들은조선불교학인연맹(朝鮮佛敎學人聯盟)을 결성하여 그운동을 조직화하였다. 그 후 그 연맹의사무소는 유점사, 개운사, 통도사 등지로 이전되기도 하였다. 당시 그학인연맹의 기관지였던《회광(回光)》(이순호 주간)은 2호(1929. 3. 6, 1932. 3. 16)까지 발간되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