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 쌍봉사철감선사탑
본문
한자1
[和順雙峯寺澈鑒禪師塔]
한자2
ⓢ
ⓟ
ⓣ
뜻(설명)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증리 741에 위치하며 쌍봉사(雙峰寺)에 세워져 있는 철감선사의 탑으로 국보로 지정되었다. 철감선사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로, 28세 때 중국 당나라로 들어가 수학하였으며 847년(문성왕 9) 범일국사(梵日國師)와 함께 돌아와 풍악산에 머무르면서 수행하였다. 경문왕 때 화순 지역의 아름다운 산수에 이끌려 절을 짓게 되는데 ‘쌍봉’인 그의 호를 따서 ‘쌍봉사’라 이름하였다. 868년(경문왕 8) 71세로 이 절에서 입적하니, 왕은 ‘철감’이라는 시호를 내리어 탑과 비를 세우도록 하였다. 탑은 전체가 8각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모습이며, 대부분 잘 남아 있으나 꼭대기의 머리 장식은 없어진 상태이다. 탑의 무게를 지탱하고 있는 기단은 밑돌가운뎃돌윗돌의 세 부분으로 갖추어져 있으며, 특히 밑돌과 윗돌의 장식이 눈에 띄게 화려하다. 2단으로 마련된 밑돌은 여덟 마리의 사자가 구름 위에 앉아 있는 듯한 모습으로, 저마다 다른 자세를 취하고 있으면서도 시선은 똑바로 정면을 쳐다보고 있어 흥미롭다. 윗돌 역시 2단으로 두어 아래에는 연꽃무늬를 두르고, 윗단에는 불교의 낙원에 산다는 극락조인 가릉빈가(伽陵頻迦)가 악기를 타는 모습을 도드라지게 새겨두었다. 사리가 모셔진 탑신은 몸돌의 여덟 모서리마다 둥근 기둥 모양을 새기고, 각 면마다 문짝 모양, 사천왕상, 비천상 등이 수려하게 조각되어 있다. 지붕돌은 정교하게 조각되어 있고 낙수면에는 기왓골이 깊게 패여 있다. 각 기와의 끝에는 막새기와가 표현되어 있으며 처마에는 서까래까지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탑을 만든 시기는 선사가 입적한 해인 통일신라 868년(경문왕 8) 때일 것으로 추정한다. 조각을 세밀하게 다듬은 석공의 정성을 느낄 수 있는 유물로 당시에 만들어진 탑 가운데 최대의 걸작품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