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정유가중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론
본문
한자1
[金剛頂瑜伽中發阿耨多羅三邈三菩提心論]
한자2
ⓢ
ⓟ
ⓣ
뜻(설명)
1권. K1369, T1665. 용수(龍樹)가 지음. 당나라 때 불공(不空, ⓢ Amoghavajra)이 746년에서 774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줄여서 『금강정발보리심론』·『발보리심론』·『보리심론』이라 하고, 별칭으로 『유가총지교문설보리심관행수지의』·『유가총지속문설보리심관행수행의』라고도 한다. 그 내용은 보리를 구하는 이를 위하여 보리심의 대의를 말하고, 승의(勝義)·행원(行願)·삼마지(三摩地)의 3문을 세워 증득하는 요령을 말하여 모든 승(乘)의 대강을 판단하게끔 하는 것으로 진언종 중요 논부(論部)의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