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정유가중약출염송경
본문
한자1
[金剛頂瑜伽中略出念誦經]
한자2
ⓢ
Sarvatathāgatatattvasaṃgraha-sūtra
ⓟ
ⓣ
뜻(설명)
4권. K429, T866. 당나라 때 금강지(金剛智, ⓢ Vajrabodhi)가 723년에 자성사(資聖寺)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금강정약출염송경(金剛頂略出念誦經)』·『약출경(略出經)』·『약출염송경(略出念誦經)』·『출경(出經)』·『출염송경(出念誦經)』이라고 한다. 10만송(頌) 광본(廣本)인 『금강정경(金剛頂經)』 가운데 유가 수행의 핵심적인 내용을 골라 번역한 경으로 품이 나누어져 있지 않다. 삼보에 대한 귀의·수행을 시작하는 제자의 자격·만다라의 단(壇)을 쌓을 위치 선정·유가행법·도량관·37존(尊)의 출현·오상성신관(五相成身觀)과 관정(灌頂)·만다라를 건립하는 방법·37존과 여러 부수적인 절차·일체 성취 삼마야 계법(契法)·찬탄과 염송·공양법·만다라에 들어서는 입단수법(入壇受法)·호마법·관정을 행하는 방법·4부처님께 행하는 사불관정(四佛灌頂)·금강저(金剛杵)와 금강명호를 받는 과정 등을 설한다. 이 경전은 특히 관정법의 절차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고 있는데, 그것은 금강계(金剛界) 관정 작법의 근간을 형성하고 있다. 또 일부 밀교 교단 내의 입단(入壇) 관정의 방법을 제시해 주고 있어 중요한 문헌으로 평가된다. 이역본으로 『금강정일체여래진실섭대승현증대교왕경(金剛頂一切如來眞實攝大乘現證大敎王經)』·『일체여래진실섭대승현증삼매대교왕경(一切如來眞實攝大乘現證三昧大敎王經)』 등이 있다. ⇨ 금강정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