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남돈북점

본문

한자1
[南頓北漸]
한자2
뜻(설명)
중국에서 남종·북종의 선풍(禪風)이 서로 다른 것을 표현하는 말. 남선(南禪)·북선(北禪), 남종(南宗)·북종(北宗)·남능(南能)·북수(北秀)라고도 한다. 초조(初祖) 달마(達磨)로부터 5조 홍인(弘忍)까지 내려온 선풍이 홍인의 아래 혜능(慧能)·신수(神秀) 두 제자가 있어 남·북 2파로 나뉜다. 혜능은 5조의 법을 전해 받고 강남(江南)으로 가서 종풍을 드날렸고, 신수는 낙양(洛陽)에 있으면서 포교했다. 그 종풍에 돈(頓)과 점(漸)의 구별이 있으므로 남돈(南頓)·북점(北漸)이라 하였다. 신수는 수행과 증오(證悟)의 단계를 인정하면서 점차로 수행하는 공덕을 쌓아서 마침내 깨닫는다고 하는 교학적(敎學的)인 경향을 가졌고, 혜능은 미(迷)와 오(悟)가 결국 하나라고 하면서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수증불이(修證不二)의 관점에서 선(禪)의 본뜻을 얻는다고 했다. 이 혜능의 문하는 후세에 융성하여 오가(五家: 임제·위앙·조동·운문·법안) 칠종(七宗: 5가에 황룡·양기의 2종을 더한 것)이 생겼고, 신수의 문하는 수 대(代)를 지낸 뒤에 그 계통이 없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