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남양주 수종사사리탑사리장엄구

본문

한자1
[南陽州水鍾寺舍利塔舍利莊嚴具]
한자2
뜻(설명)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북한강로 433번길 186에 있으며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 사리장엄구는 경기도 양평군에 있는 수종사 석조 부도를 고쳐 세울 때 발견된 유물들이다. 청자유개호(靑磁有蓋壺), 금제구층탑(金製九層塔), 은제도금사리기(銀製鍍金舍利器)가 발견되었고, 당시 금제구층탑과 은제도금사리기는 청자유개호 안에 들어 있었다. 청자유개호는 높이 31.2cm, 입구 지름 26cm로 세로로 골이 파진 것처럼 몸 전체가 장식되었고, 뚜껑은 아름다운 꽃 덩굴무늬가 전체적으로 새겨져 있다. 뚜껑의 가장 가운데에는 모란 꽃송이 무늬를 도드라지게 새겨 놓았다. 청자호의 색깔은 몸체와 뚜껑의 색이 다른데, 몸은 녹청색이고 뚜껑은 녹황색을 띠고 있다. 청자유개호 안에 금제구층탑과 함께 들어 있었던 은제도금사리기는 높이 17.3cm로, 이중의 연꽃무늬가 있는 기단에 연꽃무늬와 칠보 무늬를, 면마다 번갈아 뚫어 조각한 6각의 몸체 위에 6각의 지붕을 얹은 형태이다. 지붕 꼭대기에는 연꽃 모양 위에 보주가 장식되어 있다. 이 은제도금사리기 안에는 수정으로 만들어진 공 모양의 사리병이 들어 있는데, 여기에 구멍을 뚫고 사리를 모셨다. 금제구층탑은 높이가 12.9cm인 작은 탑으로, 정사각형으로 된 평상 모양의 기단 위에 있다. 1층 탑 몸체에는 한 면에 꽃잎 모양의 출입구가 3개 있고, 나머지 면에는 격자무늬 창문이 표현되어 있으며, 2층 이상에는 정면에만 출입구가 하나씩 있다. 각층 지붕의 네 모서리에는 사슬을 꼬아 달고 탑의 맨 꼭대기에는 덩굴무늬 장식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