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수종사팔각오층석탑출토유물일괄
본문
한자1
[南楊州水鍾寺八角五層石塔出土遺物一括]
한자2
ⓢ
ⓟ
ⓣ
뜻(설명)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북한강로 433번길 186에 위치하며 보물로 지정되었다. 남양주 수종사팔각오층석탑 출토 유물 일괄은 조성 발원문과 불상 대좌 밑면에 새겨진 명문을 볼 때 조선시대 15세기 후반과 1628년경에 각각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불감은 많이 부서지긴 하였지만, 조선시대 초기의 불감 형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불감 안팎에 표현된 도상들을 통하여 당시 불교 도상 연구에 기준이 된다. 불감 내부 정면에 표현된 삼신불의 도상, 가늘고 긴 조선시대 초기 탑의 조형, 불감 외부 양 옆면의 관음보살상과 지장보살상의 그림, 뒷면의 불설법도 등은 조선시대 전기에 유행했던 도상들과 연관된다. 함께 발견된 조성 발원문은 이들 일괄품이 조선시대 왕실과 밀접하게 관련된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는데, 특히 금동비로자나불좌상의 대좌 바닥에 새겨진 명문을 통하여 이 불상의 발원자가 정의대왕대비(貞懿大王大妃)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명문에 기록된 화원 성인(性仁)은 17세기 초에 활동했던 조각가로서 서울 지장암 비로자나불상을 만든 사람과 동일한 인물일 가능성이 있어서 주목된다. 15세기 불상으로 보이는 일련의 상들은 고려 후기 불상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는 듯하며, 17세기 불상으로 편년되는 웅크린 자세의 무거운 존상들은 비례가 맞지 않아 다소 해학적인 면도 없지 않으나 시대상을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수종사불감 및 불상 일괄은 수종사 탑에 납입될 당시의 상황과 발견 당시의 정황을 알 수 없고, 함께 봉납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불상들이 여러 곳에 흩어져 있는 상태이지만, 조선시대 초기의 왕실 불교미술을 대표하고, 발원문과 명문도 수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