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사공양
본문
한자1
[內四供養]
한자2
ⓢ
ⓟ
ⓣ
뜻(설명)
금강계만다라 금강륜(金剛輪) 안의 네 모퉁이에 있는 희(嬉)·만(鬘)·가(歌)·무(舞)의 보살을 말한다. 중대(中臺)의 대일(大日)에서 유출(流出)하여 사방의 4불(佛)을 공양하는 것을 표시한다. (1) 희희(嬉戱)보살을 내어 동방 아촉여래께 공양. 희희는 중생이 처음으로 범부와 부처가 둘이 아닌 보리를 얻어, 자신이 곧 부처임을 깨닫고 크게 기뻐하는 표시이다. (2) 만(鬘)보살을 내어 남방 보생여래께 공양. 화만(華鬘)은 이지(理智)가 구족하여 만덕(萬德)을 개발(開發)하는 표시이다. (3) 가(歌)보살을 내어 서방 아미타여래께 공양. 가(歌)는 설법을 표시한다. (4) 무(舞)보살을 내어 북방 불공성취여래께 공양. 선무(旋舞)는 신통자재 유희작업의 표시이다. 이 네 보살 가운데서 제1은 마음과 몸의 환희에 따라, 제2는 의복의 아름다움에 따라, 제3·제4는 그 기예의 정묘에 따른다. 통틀어 말하면 밖의 4공양은 외물(外物)의 객관적 공양임에 대하여, 안의 4공양은 신내(身內)의 주관적 공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