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내원암

본문

한자1
[內院庵]
한자2
뜻(설명)
1)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청학리 수락산에 있는 사찰로 1831년(순조 31) 나라에서 중창하였다. 이후 1880년(고종 17) 중수. 1958년 중건하였다. 2) 서울시 동대문 안에 있던 사찰이다. 3)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룡리 서운산에 있는 사찰. 청룡사의 부속 암자로 백여 년 전부터 강당으로 유명했다. 4)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계룡산에 있는 사찰이며 갑사의 부속 암자이다. 5) 충청남도 부여군 만수산에 있던 사찰이다. 6)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 광성리 오서산에 있는 사찰이다. 7)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도솔산 선운사 산내에 있던 사찰로 1618년(광해군 10) 인해(印海)가 창건하고, 1690년(숙종 16) 종희(宗僖)가 중창하였다. 8) 전라북도 진안군 북쪽 윤줄산에 있던 사찰이다. 9)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은사리 천량산에 있는 사찰로 문수사의 부속 암자이다. 10) 전라남도 담양군 옥천산에 있던 사찰이다. 11)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지리산에 있는 사찰로 화엄사의 부속 암자이다. 12)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에 있는 사찰이다. 고창 선운사의 부속 암자로 비구니 수행 도량이다. 이 사찰의 창건에 관해서는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 재위 시 자장율사(慈藏律師)가 창건했다는 설이 있고, 조선 숙종(肅宗) 때 박 씨라는 사람이 창건했다는 설도 있다. 대웅전(大雄殿) 옆에는 오래된 고사목(枯死木)이 있으며, “1873년(고종 10) 중수했다.”라고 써진 상량문(上樑文)이 있다. 이 상량문에는 암자가 낡아서 주지 박흘열이 주민 송만기와 36인의 뜻을 모아 중창했다고 적혀 있다. 2010년 이후 낡은 대웅전 대신에 세존전(世尊殿)을 세우고 원통전(圓通殿)을 새로 지었다. 이 사찰이 있는 섬인 위도는 허균의 『홍길동전』에 나오는 활빈국의 실제 모델로 알려져 있다. 13) 부산시 금정구 청룡동 금정산에 있는 사찰로 범어사의 부속 암자. 14) 울산시 울주군 불광산에 있는 사찰. 15)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대운산(大雲山)에 있는 사찰. 대운산은 울산 12경 가운데 하나로 그 기슭에 내원암이 자리하고 있다. 신라시대 고봉선사(高峰禪師)가 창건한 대원사(大源寺)의 암자로 기록되어 있으며, 석남사(石南寺)·문수사(文殊寺)·신흥사(新興寺)와 함께 울산 지역의 4대 고찰로 불린다. 16) 울산시 북구 대안동 함월산에 있는 사찰로 신흥사의 부속 암자이다. 17)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재약산에 있는 사찰로 표충사의 부속 암자이다. 1702년(숙종 28) 침허(枕虛)가 창건. 18)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천성산에 있는 사찰. 지금의 내원사. 19)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팔공산에 있는 사찰로 동화사의 부속 암자이며 비구니 도량이다. 1626년(인조 4) 유찬(惟贊)이 창건하고 1937년 보월(寶月)이 중창하였다. 20) 경상북도 예천군 상리면 명봉리 소백산에 있는 사찰로 명봉사의 부속 암자이다. 1687년(숙종 13) 금계(錦溪)가 창건하였다. 21) 경상북도 상주시 천등산 만경사에 속해 있던 사찰. 22) 경상북도 포항시 내연산에 있던 사찰. 23) 경상북도 군의군 청화산에 있던 사찰. 24) 경상북도 경산시 구룡산 반룡사 동쪽에 있던 사찰. 1716년(숙종 42) 행운(幸運)·탁일(卓日)이 창건. 25)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호거산에 있는 사찰로 운문사의 부속 암자이다. 26) 강원도 고성군 금강산 유점사 북쪽에 있던 사찰. 27) 강원도 양양군 설악산에 있는 사찰로 신흥사의 부속 암자이다. 652년(진덕여왕 6) 자장율사가 창건하고 능인암(能仁庵)이라 하였다. 698년(효소왕 7)에 불탔다. 조선 효종 때 용암(龍岩)이 중건하고 내원암이라 개칭하였다. 1860년(철종 11) 불타고 혜봉(慧峰)이 중건, 1885년(고종 22)에 화재가 났는데 경봉(勁峰)이 중건하였다. 1936년 불탔고, 그 뒤 중건하였다. 28) 황해북도 개성시 성거산에 있는 사찰로 원통사의 부속 암자이다. 1626년(인조 4) 인균(仁均)이 중건하고 1881년 선명(善明)비구니가 중수하였다. 이후 1934년 계법(戒法)·성화(性和) 두 비구니가 중수하였다. 29) 강원도 안변군 설봉산에 있는 사찰로 석왕사의 부속 암자이다. 30) 함경남도 신흥군 천불산에 있던 사찰. 31) 평안북도 태천군 강동면 송남동 북송산에 있는 사찰. 32) 평안북도 영변군 묘향산에 있던 사찰로 일명 내원사. 33) 평안남도 용강군 안시성(황룡성) 안에 있던 사찰. 34) 평안남도 개천시 북면 인흥리 내원산에 있는 사찰. 35) 황해남도 재령군 장수산에 있던 사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