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
본문
한자1
[能斷金剛般若波羅蜜多經]
한자2
ⓢ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sūtra
ⓟ
ⓣ
뜻(설명)
1) 1권. K16, T220. 당나라 때 현장(玄奘)이 648년에 방주(坊州)의 옥화궁사(玉華宮寺)에서, 또는 650년에서 655년 사이에 서경(西京)의 대자은사(大慈恩寺)에서 번역하였다. 이 경은 현장이 번역한 『대반야바라밀다경』 6백권 중 제9회의 제577권을 따로 간행한 것으로, 구마라집(鳩摩羅什)이 번역한 것과 비교했을 때 내용상 크게 다르지 않다. 이역본으로 『금강반야바라밀경』(K13, 구마라집 역)·『금강반야바라밀경』[K14, 보리유지(菩提流支) 역]·『금강반야바라밀경』(K15, 진제 역)·『불설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 등이 있다. 그 밖에 수나라 때 달마급다(達磨笈多)가 번역한 『금강능단반야바라밀경』이 대정신수대장경에 실려 있다. ⇨ 금강반야바라밀경(K13). 2) 1권. K17, T239. 당나라 때 의정(義淨)이 703년에 서명사(西明寺)에서 번역하였다. 고려대장경에는 경전명 앞에 ‘불설(佛說)’이 추가로 명기되어 있다. ⇨ 금강반야바라밀경(K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