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라니집경
본문
한자1
[陀羅尼集經]
한자2
ⓢ
Dhāra- ṇīsamuccaya(sū̅tra)
ⓟ
ⓣ
뜻(설명)
12권. K308, T901. 당나라 때 아지구다(阿地瞿多, ⓢ Atigupta)가 654년(영수 5)에 서경(西京)의 혜일사(慧日寺)에서 번역하였다. 고려대장경에는 경전명 앞에 ‘불설(佛說)’이 추가로 명기되어 있다. 여러 종류의 다라니를 모아 놓은 경전이다. 불부(佛部)·반야부(般若部)·관세음부(觀世音部)·금강부(金剛部)·제천부(諸天部) 등의 다라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수인(手印)·화상법(畵像法)·제단(祭壇)의 건립 등에 대해서도 상세히 설한다. 모두 12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체로 앞에서 언급한 다라니의 분류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제1권~ 제2권은 부처님과 관련된 다라니를 설하고, 제3권은 『반야바라밀다대심경』을 통해 반야바라밀다 보살이 설하는 다라니에 대해 설명한다. 제4권~제6권은 관세음보살에 관한 다라니를 설하고, 제7권~제9권은 여러 금강신과 관련되는 다라니를 설한다. 제10권~제11권은 천신에 대한 다라니를 설하고, 제12권은 밀교 의식과 그에 수반되는 다라니를 설하는데, 경 전체에 걸쳐 총 5백여 종의 다라니가 소개되고 있다. 이 경전에 설해져 있는 다라니 독송의 공덕은 현세이익적인 것이 대부분이지만 성불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또 『금강정경』 계통의 제존을 제외한 대부분의 밀교 제존이 나타나 있고, 인계·진언·단법 등이 불보살·금강·천·보집회단법(普集會壇法)으로 나뉘어져 정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