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신전
본문
한자1
[茶神傳]
한자2
ⓢ
ⓟ
ⓣ
뜻(설명)
조선시대 초의의순(草衣意恂, 1786~1866)이 청나라 모환문(毛煥文)이 엮은 『만보전서(萬寶全書)』에 실린 「다경채요(茶經採要)」를 초록한 뒤, 자신의 발문을 붙인 것이다. 구성은 채다(採茶)·조다(造茶)·변다(辨茶) 등의 22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경남 하동 지리산 칠불암(七佛庵)에서 1828년(순조 30) 초록(抄錄), 1830년 정서(正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