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왕경
본문
한자1
[諫王經]
한자2
ⓢ
Rājāvavādaka-sūtra
ⓟ
ⓣ
뜻(설명)
1권. K260, T514. 유송(劉宋)시대인 455년에 저거경성(沮渠京聲)이 양도(楊都)의 죽원사(竹園寺)에서 번역하였다. 고려대장경에는 경전명 앞에 ‘불설(佛說)’이 추가로 명기되어 있다. 별칭으로 『대소간왕경(大小諫王經)』이라고도 한다. 부처님이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실 때, 국경의 변고를 진압하고 그곳을 지나가던 불리선니왕(不離先尼王)은 온몸에 먼지를 뒤집어쓴 채 부처님 처소에 들러 예를 올렸다. 부처님이 왕에게 바른 법과 자비심으로 백성을 다스려야 한다고 하고, 모든 것은 항상하지 않으므로 어느 누구도 태어나고 늙고 병들어 죽는 것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설한다. 부처님의 설법을 들은 왕은 제자가 되겠다고 하고 오계를 받았다. 이역본으로 『승군왕소문경(勝軍王所問經)』·『불위승광천자설왕법경(佛爲勝光天子說王法經)』·『여래시교승군왕경(如來示敎勝軍王經)』 등이 있다. ⇨ 『여래시교승군왕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