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특라마유술경
본문
한자1
[檀特羅麻油述經]
한자2
ⓢ
ⓟ
ⓣ
뜻(설명)
K438c, T1391. 동진(東晋)시대에 축담무란(竺曇無蘭)이 381년에서 395년 사이에 양도(楊都)의 사진서사(謝鎭西寺)에서 번역하였다. 고려대장경에는 경전명 앞에 ‘불설(佛說)’이 추가로 명기되어 있다. 별칭으로 『단특라마유술니경(檀特羅麻油述尼經)』·『단특라마유술신니경(檀特羅麻油述神尼經)』이라고도 한다. 부처님께서 마갈국(摩竭國)의 인사탈산(因沙奪山)에 계실 때, 라훌라가 귀신에 놀란 이야기를 하자 부처님이 귀신이 사람들의 마음을 시험해 보기 위한 것이라고 말하고, 라훌라를 위해 귀신의 이름으로 이루어진 다라니를 설한다. 또한 부처님은 모든 제자들에게 귀신이 와서 사람을 홀리면 사랑스럽게 여기는 마음과 애처롭게 여기는 마음으로 청정하게 돌이켜서 스스로 오장(五藏)을 보게 하고 생각하게 하라고 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