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달마다라선경

본문

한자1
[達摩多羅禪經]
한자2
Yogacārabhūmi
뜻(설명)
2권. K1003, T618. 불타발타라(佛駄跋陀羅, ⓢ Buddhabhadra)가 동진(東晋)시대인 398년에서 유송(劉宋)시대인 421년 사이에 양도(楊都)의 여산(廬山)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달마다라경(達摩多羅經)』·『달마선경(達摩禪經)』이라 하고, 별칭으로 『부정관경(不淨觀經)』·『수행도경(修行道經)』·『수행도지경(修行道地經)』·『수행방편선경(修行方便禪經)』이라고도 한다. 계빈국 사문 달마다라가 부처님으로부터 이어온 선법 계승에 대해 기록한 것이다. 불심인(佛心印)을 범부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한 것이다. 수행방편도안나반나념퇴분(修行方便道安那般那念退分)·수행승도퇴분(修行勝道退分)·수행방편도안반념주분(修行方便道安 般念住分)·수행승도주분(修行勝道住分)·수행방편도승진분(修行方便道昇進分)·수행승도승진분(修行勝道昇進分)·수행방편 도안반념결정분(修行方便道安般念決定分)·수행방편승도결정분(修行方便勝道決定分)·수행방편도부정관퇴분(修行方便道不 淨觀退分)·수행방편부정관주분(修行方便不淨觀住分)·수행방편도부정관승진분(修行方便道不淨觀昇進分)·수행방편도부정 결정분(修行方便道不淨決定分)·수행관계(修行觀界)·수행사무량삼매(修行四無量三昧)·수행관음(修行觀音)·수행관입(修行 觀入)·수행관십이인연(修行觀十二因緣)의 17단으로 나누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