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 용연사금강계단
본문
한자1
[達城龍淵寺金剛戒壇]
한자2
ⓢ
ⓟ
ⓣ
뜻(설명)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면 용연사길 260에 위치하며 보물로 지정되었다. 계단(戒壇)은 계율을 수여하는 식장으로 승려의 득도식을 비롯한 여러 의식이 행해진다. 용연사 내의 한적한 곳에 자리잡은 이 계단은 석가모니의 사리를 모셔 두고 있다. 임진왜란(1592) 때 난을 피해 묘향산으로 옮겼던 통도사의 불사리를 사명대사의 제자 청진이 다시 통도사로 옮길 때, 용연사의 승려들이 그 일부를 모셔와 이곳에 봉안하였다고 전해진다. 돌난간이 둘러진 구역 안에 마련된 계단은 널찍한 2단의 기단(基壇) 위로 종 모양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은 네 모서리마다 사천왕상(四天王像)을 1구씩 세워 두고, 위층 기단은 4면에 팔부신상(八部神像)을 새겼는데, 뛰어난 조각 솜씨는 아니지만 섬세하고 균형감이 있어 단조로운 구조에 아름다움을 더해주고 있다. 조선시대에 유행한 양식을 보이고 있는 탑신은 별다른 꾸밈을 하지 않은 채 꼭대기에 큼직한 보주(寶珠)가 조각되어 있다. 사찰 안에 세워져 있는 석가여래비에는, 석가의 사리를 모시고 이 계단을 쌓았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 기록을 통해 1613년(광해군 5)에 계단이 완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구조가 섬세하고 조각기법이 예리하며 17세기의 석조건축 및 조각을 연구하는 데 주요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