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각등계집
본문
한자1
[大覺登階集]
한자2
ⓢ
ⓟ
ⓣ
뜻(설명)
2권 2책. 조선시대 백곡처능(白谷處能, 1617~ 1680)의 시문집. 목판본. 권1에는 5언고시 7편, 7언고시 10편, 5언율시 68편, 7언율시 30편, 5언절구 15편, 7언절구 38편, 잡체시 8편 등 총 176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권2에는 서 5편, 기 4편, 설(說) 3편, 발 1편, 편지 2편, 행장 3편, 비명 3편, 제문 1편, 권선문 1편, 소 1편 등 총 24편의 글이 있다. 처능의 대표적인 글은 「간폐석교소(諫廢釋敎疏)」이다. 총 8천여 자 분량으로 호불론(護佛論)의 입장에서 쓴 명문장이다. 1661년경에 쓴 것으로 추측되며, 조선시대의 불교 관련 상소문 중에서 분량이나 내용상으로 가장 대표적이다. 조선 1683년(숙종 9)에 초판본이 간행되었고, 1819년(순조 19) 추각(追刻)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