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대방광불화엄경입법계품사십이자관문

본문

한자1
[大方廣佛華嚴經入法界品四十二字觀門]
한자2
뜻(설명)
1권. K1329, T1019. 당나라 때 불공(不空, ⓢ Amoghavajra)이 번역하였다. 줄여서 『입법계품사십이자관』·『화엄입법계사십이자관문』이라고 한다. 『대방광불화엄 경』 「입법계품」의 53선지식 중 45번째 선지식인 선지중예(善知衆藝)동자가 설한 42자의 관문과 그 공덕에 관한 내용이다. 선지중예는 선재에게 반야바라밀문에 들어가는 가장 수승한 방법으로 범자 42자를 일러주는데, 이와 같은 자문(字門)은 법공(法空)의 변제(邊際)에 깨달아 들게 한다고 설한다. 42자는 아(阿), 라(囉), 파(跛), 자(左), 나(囊), 라(攞), 나(娜), 마(麽), 나(拏), 새(灑), 바(嚩), 다(多), 야(野), 시타(瑟吒), 가(迦), 사(娑), 망(莽), 가(誐), 타(他), 자(惹), 사바(娑嚩), 타(馱), 사(捨), 카(佉), 가사(訖灑), 사다(娑多), 나(孃), 라타(囉他), 바(婆), 샤(磋), 사마(娑麽), 하바(訶嚩), 다사(哆娑), 가(伽), 타(姹), 나(儜), 파(頗), 사가(塞迦), 야사(也娑), 시자(室左), 타(吒), 다(茶)이며, 이러한 인연으로 20가지의 수승한 공덕을 얻는다고 한다. 20가지의 수승한 공덕이란 (1) 강한 기억력을 얻고, (2) 참괴(慙愧)를 물리치며, (3) 견고한 힘을 갖게 되고, (4) 법의 근본 뜻을 알게 되며, (5) 증진된 깨달음을 얻고, (6) 뛰어난 지혜를 얻게 되며, (7) 거침없는 변설(辯說)을 얻고, (8) 총지(摠持)의 문을 얻게 되며, (9) 의혹이 없어지고, (10) 말을 거스르거나 따르더라도 노여워하거나 좋아하는 일이 없어지며, (11) 높고 낮음이 없이 평등하게 머물고, (12) 유정의 말과 음성에 훌륭한 방편을 얻게 되며, (13) 온(蘊)·처(處)·계(界)에 있어 훌륭한 방편을 얻고, (14) 연기(緣起)·인(因)·연(緣)·법(法)에 있어 훌륭한 방편을 얻게 되며, (15) 근기의 높고 낮음과 타인의 마음을 아는 지혜[他心智]에 있어 훌륭한 방편을 얻고, (16) 별과 역법을 관찰하는 훌륭한 능력을 얻게 되며, (17) 천이통과 숙명통과 신족통과 생사를 아는 지혜에 대해 훌륭한 능력을 갖게 되고, (18) 누진통의 지혜에 대한 훌륭한 능력을 얻게 되며, (19) 설할 곳과 그렇지 못한 곳에 대한 훌륭한 지혜를 얻고, (20) 오고 가는 등에 있어 위의(威儀)에 대한 훌륭한 방편을 얻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