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대방광사자후경

본문

한자1
[大方廣師子吼經]
한자2
Siṁhanādikasūtra
뜻(설명)
1권. K243, T836. 당나라 때인 680년 천축(天竺) 삼장 지바가라(地婆訶羅, ⓢ Divākara)가 동태원사(東太原寺)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사자후경』이라고 하며, 모든 법의 실상(實相)은 언설(言說)을 떠나 있음을 설한 경전이다. 부처님께서는 일월궁(日月宮)에 머무실 때 승적(勝積)보살에게 북쪽으로 백천 미진찰(微塵刹)을 지난 곳에 계시는 법기(法起)여래를 찾아뵙고 가르침을 듣게 했는데, 법기여래께서 자신의 처소에 도달한 승적보살에게 부처님이 깨달은 공(空)의 이치를 설하는 내용이다. 법기여래는 공(空)에 대해 말하는 것은 눈먼 사람에게 태양의 모양을 설명하는 것과 같이 어려운 일이라며, 스스로 공(空)의 이치를 깨달을 수밖에 없다고 설한다. 또한 사바세계의 석가모니여래가 바로 자신이라면서, 자신은 사바세계에서 여러 가지 형상을 지어 중생들을 이롭게 하며 진여에 따라 제도하고 해탈하게 한다고 말씀하신다. 공(空)에 대한 이러한 대승의 가르침은 마치 사자의 울음소리와도 같이 비할 데 없이 크고 힘이 넘친다는 의미에서 경의 이름을 ‘사자후경’이라고 하였다. 이역본으로 불타선다의 『여래사자후경(如來師子吼經)』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