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대방광삼계경

본문

한자1
[大方廣三戒經]
한자2
Trisaṃvaranirdeśaparivartasūtra
뜻(설명)
3권. K23, T311. 북량(北涼)시대인 414년에서 426년 사이에 천축(天竺) 삼장 담무참(曇無讖, ⓢ Dharmakṣema)이 번역하였다. 줄여서 『삼계경』 이라고 하며, 별 칭 으 로 『보살금계경(菩薩禁戒經)』·『불설보살금계경(佛說菩薩禁戒經)』·『연설삼계경(演說三戒經)』·『집일체불법경(集一切 佛法經)』이라고도 한다. 세존께서 삼계(三戒)를 설법하는 내용으로, 일체 불여래(佛如來)의 경계와 보살의 행(行)을 자세히 분별하고 설명한다. 대승의 수행자들이 지켜야 할 계율을 설한 경전으로, 위없는 깨달음을 얻고자 한다면 마땅히 계율을 지켜야 하지만 그러한 계율에도 집착하지 말고 세상 모든 것이 공함을 깨달아야 함을 강조한다. 출가수행자가 계율을 지키며 수행을 쌓는 것이 불법(佛法)을 지키는 데 가장 중요하다고 설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사부대중이 깨달음을 성취하기 위해 수행의 지침으로 삼아야 할 것들을 각각 3가지씩 묶어서 총 20조목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역본으로 『대보적경(大寶積經)』의 제1 삼률의회(三律儀會)가 있다. ⇨ 대보적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