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대방광십륜경

본문

한자1
[大方廣十輪經]
한자2
Daśacakra-kṣitigarbhasūtra
뜻(설명)
8권. K58, T410. 번역자 미상. 『북량록(北涼錄)』(397~439)에 목록이 올라 있으며, 줄여서 『십륜경』이라고 한다. 「서품(序品)」, 「제천녀문사대품(諸天女問四大品)」, 「발문본업단결품(發問本業斷結品)」, 「관정유품(灌頂喩品)」, 「상륜품(相輪品)」, 「찰리전다라현지상품(刹利旃陀羅現智相品)」, 「중선상품(衆善相品)」, 「찰리의지륜상품(刹利依止輪相品)」, 「원리기혐품(遠離譏嫌品)」, 「보시품(布施品)」, 「계 상품(戒相品)」, 「인욕품(忍辱品)」, 「정 진상품(精進相品)」, 「선상품(禪相品)」, 「지상품(智相品)」의 15품으로 구성되었으며, 대승 사상을 토대로 한 여러 가지 실천 수행에 대해 설하고 있다. 이 중 「원리기혐품」에서는 보살이 성취한 열 가지 바퀴[十輪]에 대해 설하고 있는데, 보살마하살의 열 가지 바퀴를 열 가지 착한 업[十善]으로 설명한다. (1) 살생을 여의고, (2) 도둑질하지 않는 것을 닦고 행하며, (3) 끝끝내 삿된 음행[邪淫]을 멀리 여의고, (4) 거짓말[妄語]을 여의고 말에 따라 행동하며, (5) 생명이 다할 때까지 이간하는 말[兩舌]을 멀리 여의고, (6) 악한 말[惡口]을 멀리 여의며, (7) 생명이 다할 때까지 꾸며대는 말[綺語]을 멀리 여의고, (8) 생명이 다할 때까지 탐욕을 멀리 여의며, (9) 생명이 다할 때까지 성냄[瞋恚]를 멀리 여의고, (10) 생명이 다할 때까지 삿된 소견[邪見]을 멀리 여읜다. 이 십륜을 성취한 보살마하살은 처음 발심한 때부터 모든 오욕을 버렸으므로 여러 성문승과 벽지불승의 사람들보다 뛰어나며, 저 이승(二乘)을 위한 복전이 된다고 한다. 이역본인 『대승대집지장십륜경(大乘大集地藏十輪經)』과 비교했을 때 분량은 적지만 품의 수는 더 많으며, 내용상의 차이는 크지 않다. ⇨ 대승대집지장십륜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