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대방광여래비밀장경

본문

한자1
[大方廣如來秘密藏經]
한자2
Tathāgatagarbhasūtra
뜻(설명)
2권. K413, T821. 번역자 미상. 삼진(三晉)시대(350~431)에 번역되었다. 줄여서 『비밀장경』·『비장경』·『여래비밀장경』이라고 한다. 모든 법이 본래 청정하다는 여래의 비밀장을 설한 경전이다. 상권(上卷)에서는 여래의 비밀장법에 대해 설하고 있는데 부처님께서 왕사성의 기사굴산에 계실 때 무량지장엄왕(無量志莊嚴王)보살이 부처님 처소로 찾아와서 여래비밀장법을 설해 주기를 청하는 내용이다. 여래의 비밀법이란 일체의 지혜와 마음을 말하며, 모든 지혜의 마음을 견고하게 하는 법과 지혜의 마음을 보호하고 깨달음의 마음에서 물러나지 않는 법 등을 이루기 위해서는 각각 사법(四法)을 갖추어야 한다. 하권(下卷)에서는 가섭이 여래의 비밀장법을 다시 설해 주기를 청하고 부처님은 비유를 들어 설명하신다. 이를테면, 좋은 의사가 병자에게 약을 줄 때 병든 이가 의사와 약을 헐뜯고 나서 약을 먹더라도 약의 효과가 사라지지 않고 병을 낫게 하듯이, 보살도 그와 같아서 공경을 받지 않고 괴롭힘을 당하더라도 순수하고 깨끗하므로 그의 뜻에 결함이 없으며, 본래의 서원이 깨끗하기에 소원이 모두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또한 여래를 기억하고 생각하는 이는 모두 열반을 증득하며, 만일 중생이 여래의 대자대비를 믿고 수행하다가 바른 지위를 얻지 못하고 여래의 물건을 훔쳤다 하더라도 그것은 나쁜 길을 가는 것이 아니니, 이것을 여래의 비밀장법이라고 한다. 가섭이 부처님은 법(法)의 근본이며 세존은 바로 눈[眼]이라고 말씀드리자 부처님께서는 번뇌가 인연으로부터 생겨난 줄 알면 깨달음을 얻은 것이라 이름한다고 설한다. 인연으로부터 생겨난 번뇌는 자성(自性)이 없으며 다만 명자(名字)를 빌어 깨달음을 얻은 것이라고 이름 붙인 것이니, 이 깨달음은 문자나 말[言說]로써 얻지 못하는 것으로 만일 문자가 없고 말이 없고 깨달음을 얻음이 없으면 이를 제일의(第一義)라고 한다는 것이다. 일체 모든 법은 본성이 항상 청정하며, 인연이 화합해서 생기고 생긴 뒤에는 다시 멸하게 된다. 이때 아난이 부처님께 무량지장엄왕보살은 자신의 몸을 여래께 공양하였으니 장차 어떤 몸으로 보리도를 깨닫게 될 것인지를 물었고, 부처님은 화대(華臺)에 앉아 있던 보살들은 몸과 마음으로 깨달음을 얻는다고 생각하지 말라고 답한다. 몸의 실제 성품[實性]이 깨달음[菩提]의 실제 성품이고, 깨달음의 실제 성품이 마음의 실제 성품이며, 마음의 실제 성품이 곧 일체 법의 실제 성품이니, 일체 모든 실제 성품을 깨달았기 때문에 보리(菩提)를 깨달았다고 하는 것이다. 끝으로 부처님은 아난에게 이 현겁의 최후 여래이신 노지(盧志)여래께서 무량지장엄왕보살에게 “장차 장엄왕(莊嚴王)여래가 되리라.”라는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실 것이라고 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