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본문

한자1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한자2
뜻(설명)
1권. K400, T842. 당나라 때인 693년 불타다라(佛陀多羅, Buddhatrāta)가 동도(東都)의 백마사(白馬寺)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원각경』·『원각수다라요의경』이라고 하며, 별칭으로 『대방광원각경(大方廣圓覺經)』·『원각수다라요의경(圓覺修多羅了義經)』·『원각요의경(圓覺了義經)』이라고도 한다.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문수, 보현, 보안(普眼), 금강장(金剛藏), 미륵, 청정혜(淸淨慧), 위덕자재(威德自在), 변음(辯音), 정제업장(淨諸業障), 보각(普覺), 원각, 현선수(賢善首) 등 12보살에게 시방에 변만(遍滿)하여 생멸이 없는 원각묘심(圓覺妙心)과 그러한 원각묘심을 깨닫기 위한 수행 방법에 대하여 설한 경전이다. 부처님과 1문 1답의 형식으로 구성된 이 경은 12보살들과의 문답을 각각 1장(章)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전체 1권 12장이다. 제1 「문수보살장(文殊菩薩章)」에서는 문수보살이 부처님께 여래의 본기(本起)인 청정한 인지(因地)의 법행(法行)과 보살이 대승 가운데서 청정한 마음을 일으켜 모든 병을 멀리하는 방법을 설하시어 장차 말세의 중생들이 잘못된 견해에 떨어지지 않게 해달라고 청한다. 이에 부처님은 무상법왕(無上法王)에게는 대다라니문(大陀羅尼門)이 있는데 이를 원각이라고 하며, 이 원각이 모든 청정한 진여·깨달음[菩提]·열반·바라밀을 내보내 보살을 가르치는데 모든 여래의 본지인 인지는 원[圓覺]에 의지해 청정각(淸淨覺)의 상(相)을 두루 비추고 영원히 무명(無明)을 끊어야 불도를 이룬다고 설한다. 그러므로 여래의 인지에 원각을 수행한 이는 무명(無明)이 허공 꽃임을 알아서 윤전(輪轉)하지 않으며 몸과 마음도 생사를 받지 않는다. 작위가 아니라 본래의 성품이 없기 때문이다. 그것을 지각하는 것도 허공과 같으며 허공인 줄 아는 것도 허공 꽃의 모양이지만, 지각하는 성품이 없다고도 말할 수 없으니 있고 없음을 모두 떠나야 청정한 깨달음[淨覺]에 수순한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이 인지(因地)의 법행이고 보살은 이것으로 인해 대승 가운데서 청정심을 발하게 되니, 말세의 중생들이 이것에 의지해 수행하면 잘못된 견해에 떨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제2 「보현보살장(普賢菩薩章)」에서는 보현보살이 부처님께 원각의 청정한 경계를 듣고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지를 묻는다. 부처님은 모든 중생의 갖가지 환화(幻化)는 모두 다 여래의 원각묘심에서 생겨난 것이므로 모든 환(幻)이 사라지더라도 각심(覺心)은 움직이지 않는다고 설한다. 그러므로 모든 보살과 말세의 중생들은 환화(幻化)인 허망 경계를 멀리 떠나야 하며 멀리 떠나겠다는 마음까지도 멀리 떠나야 한다고 설하셨다. 제3 「보안보살장(普眼菩薩章)」에서는 보안보살이 부처님께 이 모임에 온 보살들과 말법 세계의 중생들을 위한 보살의 수행 차제[漸次]와 더불어 어떻게 사유하고 어떻게 머물러야 하는지, 그리고 중생들이 깨닫지 못하면 어떤 방편을 써야 하는지를 묻는다. 부처님께서는 보살과 말세의 중생이 여래의 청정한 원각심을 구하고자 한다면 정념(正念)으로 모든 환(幻)을 멀리 떠나야 하며, 금계(禁戒)를 지키고 조용한 방에 단정히 앉아서 항상 다음과 같이 생각해야 한다고 설한다. ‘이 몸은 지(地)·수(水)·화(火)·풍(風)의 사대(四大)가 화합한 것으로 실체가 없는 환화(幻化)와 같다. 사연(四緣)이 임시로 화합하여 허망하게도 육근(六根)이 있게 되고 육근과 사대가 안팎으로 합성하여 허망하게도 연의 기운[緣氣]이 있게 되나니, 이 중에 쌓이고 모여 연(緣)의 모습이 있는 듯 되었으니 이를 가명으로 마음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 허망한 마음도 육진(六塵)이 없으면 있을 수 없고 사대가 흩어지면 육진도 없다. 그러므로 연(緣)과 진(塵)이 흩어지면 반연하는 마음도 볼 수 없다.’ 환신(幻身)이 멸하면 환심(幻心)도 멸하는 것이므로 몸과 마음을 환의 때[幻垢]라 하는 것이다. 보살과 말세의 중생들이 모든 환(幻)을 증득하여 영상(影像)을 없애면 무한한 청정을 얻게 되는데, 하나가 청정하면 일체가 청정하여 모든 실상(實相)의 성품이 청정해지고 일체가 평등하여 청정하고 움직이지 않으므로 각(覺)의 성품도 평등하여 움직이지 않는다. 보살과 말세의 중생들이 이 마음을 닦고 익혀서 성취하면 거기에는 닦을 것도 없고 성취할 것도 없으며, 원각이 두루 비추어서 적멸(寂滅)하여 둘이 없고 속박도 없고 해탈도 없으니 중생이 본래 성불(成佛)이고 생사와 열반이 지난밤 꿈과 같은 것임을 비로소 알게 된다. 증득함도 없고 증득하는 이도 없어서 모든 법성이 평등한데, 보살은 이와 같은 차제로 수행하고 사유하며 머무르면서 방편을 써서 깨달아야함을 설하셨다. 제4 「금강장보살장(金剛藏菩薩章)」에서는 금장강보살이 부처님께 중생이 본래 부처라면 무슨 까닭으로 온갖 무명이 있으며, 중생에게 본래부터 온갖 무명이 있었다면 무슨 까닭으로 본래부터 부처였다고 하는지를 질문한다. 부처님은 여래의 적멸한 성품은 시작과 끝이 없으며, 만일 윤회의 마음으로 따진다면 윤회의 끝에 이를 뿐 부처님의 바다에는 들지 못한다고 설한다. 금광석으로 비유하자면, 금은 녹여서 생기는 것이 아니라 본래부터 금인 것이니 결국 녹여서 순금이 되고 나면 다시는 광석이 되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생사와 열반, 범부와 모든 부처님은 모두 허공 꽃의 모습이어서 그러한 생각 자체가 환화(幻化)이거늘 이러한 사유로써 부처님의 경계를 분별하는 것은 망상만 더하는 것이므로 옳지 않음을 말씀하셨다. 제5 「미륵보살장(彌勒菩薩章)」에서는 미륵보살이 부처님께 윤회의 근본에 대하여 질문하고, 부처님은 모든 중생은 무시(無始) 이래로 갖가지 은애(恩愛)와 탐욕으로 말미암아 윤회하므로 중생이 생사를 벗어나고 모든 윤회를 면하기 위해서는 탐욕을 끊고 갈애(渴愛)를 없애야 한다고 설한다. 모든 중생은 탐욕으로 인해 무명을 일으키고 이(理)·사(事)라는 두 가지 장애에 의해 깊고 얕음을 드러낸다. 이 두 가지 장애를 이미 굴복시켰으면 보살의 경지에 깨달아 들어가고, 이 두 가지 장애를 영원히 끊어 없앴으면 여래의 미묘한 원각에 들어가서 깨달음[菩提]과 대열반에 만족함을 말씀하셨다. 제6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에서는 청정혜보살이 부처님께 일체의 중생과 모든 보살과 여래 세존께서 증득하신 것에는 어떤 차별이 있는지를 질문하였다. 부처님은 원각의 자성은 성품이 아니므로 취하는 것도 없고 증득하는 것도 없으며 깨달음도 중생도 없다고 설한다. 그러나 깨닫고 깨닫지 못한 때에 점차(漸次)의 차별이 있는데, 중생에게는 견해가 장애가 되고 보살에게는 깨달음을 여의지 못하는 것이 장애가 된다. 지(地)에 들어간 이는 영원히 적멸하여 모든 상(相)에 머무르지 않는다고 설하셨다. 제7 「위덕자재보살장(威德自在菩薩章)」에서는 위덕자재보살이 부처님께 보리를 성취하는 일체 방편의 점차(漸次)와 수행인(修行人)이 몇 종류나 되는지를 질문하였다. 부처님은 위없는 묘각(妙覺)이 두루 하여 시방에 여래를 출생(出生)시키니 모든 수행에 있어서는 둘이 없는 것이라고 설한다. 그러나 방편을 수순(隨順)하자면 그 수가 한량없이 많으며 돌아갈 바를 따라 성품의 차별에 세 가지가 있다고 한다. 사마타(奢摩他)·삼마발제(三摩鉢提)·선나(禪那)의 구분이 있는데 이 3가지 법문은 모두 원각을 따르는 것임을 설하셨다. 제8 「변음보살장(辯音菩薩章)」에서는 변음보살이 부처님께 원각의 문에 들 때 이 모든 방편을 몇 가지로 닦아 익혀야[修習] 하는지를 질문하였다. 부처님은 모든 여래의 원각은 청정하여 본래 닦아 익힐 것도 없고 닦아 익히는 자도 없지만 보살과 말세의 중생이 깨닫지 못하여 환(幻)의 힘으로 닦아 익히기 때문에 25종의 청정한 선정의 바퀴[淸淨定輪]가 있다고 설한다. 정륜은 사마타·삼마발제·선나의 3가지 법을 돈(頓)·점(漸)에 따라 수행하는 것으로, 보살과 말세 중생이 정륜에 수순하여 닦아 익히면 대비의 힘에 의하여 열반을 증득하게 된다고 말씀하셨다. 제9 「정제업장보살장(淨諸業障菩薩章)」에서는 정제업장보살이 부처님께 이 깨닫는 마음이 본래 청정하다면 무엇으로 인해 더러운 것에 물드는 것인지를 질문하였다. 부처님은 모든 중생이 무시 이래로 망상을 일으켜서 나[我]와 남[人]과 중생(衆生)과 수명(壽命)이 있다고 집착하는 네 가지 전도(顚倒)를 실아(實我)의 체로 삼았으며, 이런 까닭에 미움과 사랑이라는 두 경계가 생기고 청정한 원각에 들어가지 못한다고 설한다. 만일 중생이 깨달음의 세계에 들어가서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을 버리고 법애(法愛)까지도 마음에 두지 않으면 점차 성취하게 된다고 설하셨다. 제10 「보각보살장(普覺菩薩章)」에서는 보각보살이 부처님께 말세의 중생은 어떤 사람을 따르고 어떤 법에 의지하며 어떤 행을 행하고 어떤 병(病)을 제거하며 어떻게 발심해야 삿된 소견에 떨어지지 않는지를 질문하였다. 부처님은 장차 말세의 중생은 마땅히 정각을 추구하고 이승(二乘)을 떠난 선지식을 찾아야 한다고 설한다. 조작하고[作] 맡기고[任] 그치고[止] 멸하는[滅] 병을 없애야 하며, 가깝더라도 교만치 말고 멀더라도 성내지 말고 갖가지 경계가 보이더라도 희유(希有)한 마음을 내어 부처님이 세상에 나오신 듯해야 한다. 그릇된 계를 범하지 않고 ‘나’와 ‘너’라는 분별의 상(相) 없이 언제나 바른 지혜를 의지하면 곧 삿된 견해를 초월하여 깨달음을 얻고 열반에 들 것이라고 설하셨다. 제11 「원각보살장(圓覺菩薩章)」에서는 원각보살이 부처님 멸도 후 말세의 중생 가운데 아직 깨닫지 못한 자는 어떻게 안거해서 원각의 청정한 경계를 닦아야 하는지와 원각의 세 가지 청정한 관법 중 어느 것을 우두머리로 삼아야 하는지를 질문한다. 부처님은 사마타는 지극히 고요하고 삼마발제는 바르게 기억하며 선나는 수문(數門)을 밝히니 모두 청정한 관(觀)이라고 하면서 근기가 둔하여 성취하지 못한 자는 항상 부지런한 마음으로 무시 이래로 지어온 일체의 죄를 참회해서 모든 업장이 소멸하면 부처의 경계가 곧 현전할 것이라고 설한다. 제12 「현선수보살장(賢善首菩薩章)」에서는 현선수보살이 이 대승교(大乘敎)의 이름은 무엇이고 어떻게 받들어 지니며 닦아 익히면 어떤 공덕을 얻을 수 있는지와 이 경전을 수지하는 사람을 어떻게 보호하고 이 가르침을 유포하면 어떤 경지에 이르게 되는지를 질문한다. 부처님은 이 경전을 12부(部)경의 청정한 안목이라고 하면서, 이름은 대방광원각다라니경, 수다라요의경, 비밀왕삼매경, 여래결정경계경, 여래장자성차별경이라고 설한다. 또한 중생들이 이 경에 의지해서 수행하면 점차 증진하여 부처님의 경계에 이르게 되는데, 이 경은 돈교(頓敎) 대승이므로 돈기(頓機)의 중생이 이것을 따라 개오(開悟)할 것이며 점수(漸修)의 무리들도 모두 포섭한다고 말씀하셨다. 이 경전의 명칭 중 원각수다라(圓覺修多羅)는 『화엄경』의 원만수다라(圓滿修多羅)에서 나온 것이고, 요의경(了義經)은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K426)에서 나온 것으로, 대부분 학자들은 『원각경(圓覺經)』의 내용은 후자의 경전에 근거하고 여기에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교의(敎義)를 보충하여 중국에서 만들어진 경전으로 보고 있다. 번역자인 불타다라에 대해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제9에는 사문(沙門) 불타다라는 북인도 계빈(罽賓) 사람으로 동도의 백마사에서 『원각요의경』 1부를 번역했다고 나와 있으나, 그에 대한 사적이 이것뿐이고 역경한 경전도 이 경전뿐이어서 그것이 사실인지는 의문시된다. 이 경전에 대한 주석서로는 당나라 종밀(宗密)의 『대방광원각경대소(大方廣圓覺經大疏)』를 비롯한 9종류가 있다. 종밀이 주석하기 이전에 이미 유각(惟慤)의 소(疏) 1권, 오진(悟眞)의 소 2권, 견지(堅志)의 소 4권, 도전(道詮)의 소 9권이 있었다고 하는데, 종밀의 것을 제일로 꼽는다. 종밀 이후에도 많은 주석서가 나왔으나 후대의 연구가들은 대부분 종밀의 주석서에 의거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조선시대에 함허득통(涵虛得通)이 지은 『원각경해(圓覺經解)』 3권 외에 연담유일(蓮潭有一)의 『원각사기(圓覺私記)』 2권, 의첨(義沾)의 『원각경사기(圓覺經私記)』 1권 등이 현존한다. 이 경전에 대해서는 중국에서 만들어진 위경(僞經)으로 보는 학자들이 많고 또 문헌학적으로도 여러 가지 의문점이 있으나 그 내용이 대승의 참뜻을 잘 표현하고 있어서 예로부터 널리 유포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문 강원의 교과목인 『금강경(金剛經)』, 『수능엄경(首楞嚴經)』,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과 함께 사교과(四敎科)의 한 과목으로 채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