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비사
본문
한자1
[大悲寺]
한자2
ⓢ
ⓟ
ⓣ
뜻(설명)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 호거산에 있는 사찰로서 567년(진흥왕 28) 한 신승(神僧)이 창건해 소작갑사(小鵲岬寺)라고 이름 붙였다고 한다. 창건에 얽힌 설화에 따르면, 557년 한 신승이 운문산에 들어와 현재의 금수동(金水洞) 북대암(北台庵) 자리에 초암을 짓고 3년 동안 수도를 하고 있었는데 어느 날 산과 골이 진동하며 새와 짐승이 놀라 우는 소리를 듣고 그곳에 오령(五靈)이 살고 있음을 알게 되어 절을 짓기 시작했다. 중심부에는 대작갑사(大鵲岬寺), 동쪽에는 가슬갑사(嘉瑟岬寺), 남쪽에는 천문갑사(天門岬寺), 서쪽에는 이 절인 소작갑사, 북쪽에는 소보갑사(所寶岬寺)를 지었는데, 불사가 다 끝난 시기가 567년이었다고 하며 이 가운데 천문갑사가 지금의 운문사(雲門寺)이다. 589년(진평왕 11) 원광(圓光)이 중창하면서 대비갑사(大悲岬寺)로 이름을 바꾸었다. 신라 말 고려 초 후삼국이 다툴 때 불에 타서 소실된 것을 고려 인종 때 원응국사(圓應國師) 학일(學一)이 다시 중창했다. 일제강점기에 대웅전을 중수했고, 6·25전쟁으로 불에 탔을 때는 금천면민들의 성금으로 주지 응교(應敎)가 대웅전을 다시 중수했다. 산내 암자로 도솔암(兜率庵)과 옥련암(玉蓮庵)이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없다. 보물로 지정된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계 맞배지붕 건물로 1685년(숙종 11) 중건했다는 기록을 담은 문서가 전한다. 유물로는 절 입구의 동쪽 산기슭에 소요태능(逍遙太能, 1562~1649)과 취운학린(翠雲學璘, 1575~1651)의 부도 등 여러 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