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대성암

본문

한자1
[大聖庵]
한자2
뜻(설명)
1) 경기도 구리시 아차산에 있던 사찰. 원래 이름은 범굴사(梵窟寺)라고 한다. 의상(義湘)이 창건했으며, 창건 시기는 신라 647년(진덕여왕 1)이라는 설과 670년(문무왕 10)이라는 설이 있다. 고려 1375년(우왕 1) 나옹(懶翁)이 중창해서 수도했는데 언제부터인가 폐사되었다. 1750년(영조 26)에 방지성(方智性)이 그 자리에 초암을 한 칸 지었고 그 후 승려 전령(展翎)이 전각을 확장했으나 1882년 임오군란 때 모두 소실되었다. 1912년 문정념(文正念)이 요사채를 짓고 이듬해 극락전을 세웠으며, 1930년에는 중흥불사가 일어나 1936년과 1942년 두 차례에 걸쳐 중성전과 극락전을 중건하였다. 1950년 6·25전쟁 때 다시 불타버려서 1954년 법당과 요사채를 재건하였다. 범굴사가 대성암으로 개명된 시기는 자료에 따라 각기 다르다. 2)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계룡산에 있는 사찰로 갑사(甲寺)의 부속 암자이다. 갑사는 420년 아도(阿道)가 창건했다는 설과 556년(진흥왕 17) 혜명(惠明)이 창건했다는 설, 그리고 아도가 창건하고 혜명이 중창했다는 설 등이 있다. 679년(문무왕 9) 의상(義湘)이 중수하고 ‘화엄대학지소(華嚴大學之所)’로 삼았는데, 이때부터 신라 화엄십찰(華嚴十刹)의 하나가 되었다. 부속암자로 대성암(大聖庵)·내원암(內院庵)·신흥암(新興庵)·대적암(大寂庵) 등이 있다. 3) 부산시 청룡동 금정산에 있는 범어사의 부속 암자이다.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으나, 기록에 따르면 1803년(순조 3) 취규대사(就奎大師)에 의해 범어사 금강암(金剛庵)과 함께 중창되었다고 한다. 18세기 후반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신중탱과 1864년(고종 1) 조성된 아미타후불탱 등 조선 후기의 유물들이 남아 있다. 1910년부터는 ‘각해선림(覺海禪林)’이라는 편액을 내걸고 현재까지 선원의 명맥이 이어진다. 4) 강원도 고성군 오대면 냉천리 금강산 건봉사의 산내 암자로 945년(혜종 2) 창건되었고 옛터는 청상봉(青裳峰) 아래에 있었다고 한다. 5) 강원도 동해시 삼화동 두타산에 있는 사찰로 삼화사의 부속 암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