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대승기신론내의약탐기

본문

한자1
[大乘起信論內義略探記]
한자2
뜻(설명)
신라시대 태현(太賢)이 『대승기신론』의 내용을 간략히 해설한 주석서로,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첫째 논의 대의(大意)를 서술하고, 둘째 논에 담긴 여러 의미를 탐구한다. 태현은 논에 담긴 여러 의미를 탐구하기 위해 세 가지 문을 설정하였다. 첫째 『대승기신론』이 삼장(三藏) 등에서 어디에 속하는지를 밝히고, 둘째 『대승기신론』의 제목을 해석하며, 셋째 『대승기신론』의 종지를 8개 항목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8개 항목이란 (1) 귀경삼보(歸敬三寶), (2) 화합식(和合識), (3) 사상(四相), (4) 본각(本覺), (5) 무명(無明), (6) 오의(五意), (7) 육염(六染), (8) 불신(佛身)이다. 이 가운데 무명에 대한 해설은 결락되어 있다. 주로 법장의 『대승기신론의기(大乘起信論義記)』와 원효의 『기신론소(起信論疏)』를 발췌하여 주석하고 있으며, 불신(佛身)에 대해서는 법장의 『화엄일승교의분제장(華嚴一乘敎義分齊章)』의 내용을 많이 인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