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대승동성경

본문

한자1
[大乘同性經]
한자2
Mahā- yānābhisamayasūtra
뜻(설명)
2권. K151, T673. 후주(後周)시대인 570년 사나야사(闍那耶舎, Jñānayaśas)가 장안(長安)의 사천왕사(四天王寺)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동성경』이라고 하며, 별칭으로 『일체불행입지비로자나장설경(一切佛行入智毘盧遮那藏說經)』이라고도 한다. ‘동성’이란 말은 이 경전의 다른 번역인 『증계대승경』의 ‘증계(證契)’에 해당하며, 현관(現觀)을 지칭한다. 이 경은 살생을 일삼는 마귀도 부처님에게 귀의하여 수행 정진하면 부처가 될 수 있다고 설한다. 상권은 삼보에 귀의한 비비사나라는 나찰들의 왕이 부처님에게 와서 중생에 대해 질문하는 내용이다. 부처님은 모든 것은 화합으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실상(實相)이 없으며, 중생의 실상을 얻는다고 함은 곧 ‘큰 지혜와 동일한 성품[大智同性]’을 얻는 것이라고 설하신다. 아울러 중생의 실상을 얻더라도 이 생의 유위(有爲)한 광야를 버리지 말 것을 당부하신다. 하권에서는 보살이 부처가 되기 위해 닦는 성문의 십지·연각의 십지·보살의 십지·여래의 십지 등 40단계의 부처님 법이 설해진다. 여기서의 보살 십지는 화엄의 보살 십지가 성립된 이후의 것이다. 등장인물인 능가성의 비비사나를 대승의 가르침 속에서 하나의 인격으로 받아들이고 있는데, 이는 『능가경』 의 제1품에 나오는 나바나 능가왕이 설법을 청하는 경우와 유사하며 불전이 설해진 장소 또한 마라야산으로 같다. 이러한 점과 『능가경』의 제1품이 후세에 추가되었다는 점 등으로 미루어 『대승동성경』의 영향을 받았다고 추측된다. 이역본으로 『증계대승경(證契大乘經)』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