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밀엄경
본문
한자1
[大乘密嚴經]
한자2
ⓢ
Ghanavy-̅hasūtra
ⓟ
ⓣ
뜻(설명)
1) 3권. K417, T681. 당(唐)나라 때인 676년에서 688년 사이에 지바가라(地婆訶羅, Divākara)가 번역하였다. 줄여서 『밀엄경』이라고 한다. 전체적으로 불공(不空)이 번역한 동일한 경명의 이역본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불공의 번역본에는 경의 공덕을 설한 서문이 첨가되어 있다. 밀교의 이상세계라고 할 수 있는 밀엄(密嚴)세계·여래장·아뢰야식의 의미를 설명한다. 밀엄이란 대일여래의 정토를 일컫는다. 이역본으로 『대승밀엄경』(K1344)이 있다. 2) 3권. K1344, T682. 당(唐)나라 때 금강지(金剛智, Vajrabodhi)와 함께 720년에 낙양(洛陽)에 와서 774년에 입적한 불공(不空)이 번역하였다. 줄여서 『밀엄경』이라고 한다. 여덟 개의 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처님이 밀엄국에서 여실견보살과 금강장보살 등에게 설한 내용이다. 이역본으로 『대승밀엄경』(K417)이 있다. 대 승 방 광 만 수 실 리 보 살 화 엄 본 교 염 만 덕 가 분 노 왕 진 언 대 위 덕 의 궤 품 제 삼 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