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대승보요의론

본문

한자1
[大乘寶要義論]
한자2
Sūtrasamuccaya
뜻(설명)
10권. K1475, T1635. 북송(北宋)시대인 1018년에서 1058년 사이에 법호(法護, Dharmarakṣa) 등이 번역하였다. 줄여서 『보요의론』이라고 한다. 보리와 자비심·일승(一乘)과 열반·육바라밀·공(空) 등의 중요한 대승 교리에 대해 해석한 논서로 총 10권이다. 제1권은 인간의 몸으로 태어나 불법을 듣는 것의 어려움을 설하고 있으며, 제2권에서는 보살이 갖추어야 할 덕목에 관한 내용이다. 제3권은 보살 수행의 공덕과 수행 과정에 나타나는 마귀의 방해를 경계하고, 제4권은 인과응보의 사실을 강조하며 바르게 행동하고 계를 지킬 것을 권유한다. 제5권은 보살이 바른 행실로 얻는 10가지 복덕과 근행해야 할 덕목을 설명하고, 제6권은 부처님께 공양할 때의 마음가짐과 열반·공·일승 등의 주제를 다룬다. 제7권은 바른 불법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 모든 존재가 차별 없이 평등하다는 것, 공 등에 대해 설하고, 제8권은 반야바라밀과 공에 관한 내용이다. 제9권은 육바라밀과 보살행에 대해 설하고 있으며, 제10권은 법계(法界), 시방세계, 보살의 공덕 등을 주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