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대승사

본문

한자1
[大乘寺]
한자2
뜻(설명)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사불산에 있는 사찰. 신라 587년(진평왕 9) 창건되었다고 한다. 붉은 비단으로 싸인 사면석불(四面石佛)이 하늘에서 공덕봉(功德峰) 중턱으로 떨어졌는데, 왕이 소문을 듣고 그곳에 와서 예배하고 절을 지어 대승사라고 사액(賜額)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임진왜란으로 전소된 후 1604년(선조 37)부터 1701년(숙종 27)까지 법당을 비롯한 건물들을 신축하였다. 이 중 금당은 1692년(숙종 18)에 지었는데, 미면사(米麺寺)의 삼존불을 옮겨 봉안하였다. 1727년(영조 3) 종각을 단장했고, 1730년 금강문을 지었다. 이때 산내 암자가 미륵암·사불암·상적암·대비암·묘적암·묘봉암·운필암·문수암·보현암으로 9개였다고 한다. 1725년 의학(義學)이 삼존불상을 개금했는데, 아미타불의 복장(腹藏)에서 사리(舎利) 1과와 신룡(神龍) 1년 금으로 쓴 『화엄경』 7권이 나왔다. 1862년(철종 13) 불탄 것을 의운(意雲)·취월(就越)·덕산(德山)이 중건하였고, 1867년(고종 4) 누각 등을 건립하였다. 1899년에는 월파(月波)가 중심이 되어 염불당을 만들고 미타계(彌陀契)를 설치했으며, 환경(幻鏡)·화응(華應)·학송(鶴松) 등이 염불만일회(念佛萬日會)를 만들어 7년간 정진하였다. 1956년 다시 화재로 대부분의 건물이 소실되었고 1966년 중건해서 오늘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