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사법경
본문
한자1
[大乘四法經]
한자2
ⓢ
ⓟ
ⓣ
뜻(설명)
1) ⓢ Caturdharmakasūtra. 1권. K246, T772. 당(唐)나라 때인 680년 지바가라(地婆訶羅, Divākara)가 동태원사(東太原寺)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사법경』이라고 한다. 보살은 깨달음을 이루기 위해 대승불교의 4가지 법에 따라 수행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으며, 보살의 4가지 발심(発心)·보살의 4가지 행법(行法)·보살의 4가지 꿈·보살의 10가지 만심(慢心) 등에 대해 설명한다. 보살은 4가지 법에 따라 수행해야 한다고 하는데, 그 4가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숨이 다할지라도 보리심, 즉 깨달음을 이루고자 하는 마음을 버려서는 안 된다. 둘째 항상 불도를 성취하도록 이끌어 주는 착한 벗인 선지식을 생각하고 그를 따라야 한다. 셋째 욕심과 애착을 버리고 모든 것을 참고 견뎌야 한다. 넷째 조용하고 한적한 곳, 즉 아란야(阿蘭若)에서 불도 수행에 정진해야 한다. 이 4가지를 잘 지켜서 수행하면 번뇌를 떠나 궁극적인 깨달음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 이 경의 요지이다. 이 경과 동일한 제목으로 실차난타(實叉難陀)가 번역한 『대승사법경』(K485)이 있으나, 그 분량과 내용면에서는 크게 차이가 난다. 이역본으로 『불설보살수행사법경(佛說菩薩修行四法經)』이 있다. 2) ⓢ Catuṣkanirhārasūtra. 1권. K485, T774. 당(唐)나라 때인 695년에서 700년 사이에 실차난타(實叉難陀, Śikṣānanda)가 서경(西京)의 청선사(清禪寺) 또는 동도(東都)의 불수기사(佛授記寺)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사법경』이라고 한다. 보살도를 성취하기 위한 법문을 4가지로 설한 경전이다. 부처님께서 기수급고독원에 계실 때의 일이다. 문수사리가 살바야(薩婆若, 一切智)를 위하여,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삼보의 종자를 끊지 않기 위하여, 부처님 세계의 공덕 장엄을 거두어들이기 위하여 부처님께 공양드린다고 설하자, 문수사리의 설법을 들은 선승(善勝)이라는 도솔천인(兜率天人)이 다시 보살도의 법문을 청한다. 이에 문수사리가 보살은 항상 즐거워하는 마음을 지녀야 한다는 증상의락심(增上意樂心)의 4가지와 산과 같은 마음을 일으켜야 한다는 여산심(如山心)의 4가지 등을 설하니, 선승과 그 권속들이 문수사리에게 천상의 만다라화(曼多羅花)를 공양한다. 또한 선승이 문수사리에게 깨달음에 머무는 법[住菩提法]을 성취하는 방도를 묻자, 문수사리는 바라밀을 닦을 것을 권하며 보살이 아만 등의 10가지 교만한 마음을 없애면 불퇴전(不退轉)을 얻을 수 있다고 답한다. 이 경은 지바가라가 번역한 『대승사법경』(K246)과 이름이 같으나 그 내용은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