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장진론
본문
한자1
[大乘掌珍論]
한자2
ⓢ
Karatalaratna
ⓟ
ⓣ
뜻(설명)
2권. K620, T1578. 당(唐)나라 때인 649년 10월 현장(玄奘)이 대자은사(大慈恩寺)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장진론』이라고 한다. 청변(清辯)이 저술한 것으로 제법무상(諸法無相)의 의의를 분명히 밝힘으로써 반대파인 유종(有宗)에서 주장하는 제법유상(諸法有相)의 논리를 논파한다. 상하 2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권의 서문에는 논을 지은 목적이 설해져 있다. 제법(諸法) 무자성(無自性) 공(空)의 이치를 증득해서 법성에 들어가고, 번뇌로부터 해탈하도록 해서 유정을 요익하게 하려는 것이다. 이 논서에서는 유위와 무위가 모두 공인 것을 각각 종(宗)·인(因)·유(喩)의 정연한 논리에 따라 증명한 후 “혜(慧)는 무분별(無分別)을 행하고 무소행(無所行)으로써 행한다.”라는 게송을 들며 분별을 떠난 공의 지혜로 팔정도와 육바라밀을 완성할 것을 설하고 있다. 주석서로는 원효의 『소(疏)』 하권·『종요(宗要)』 1권·『요간(料簡)』 1권, 태현(太賢)의 『고적기(古跡記)』 1권, 신태(神泰)의 『소』 2권, 문비(文備)의 『소』 2권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