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현식경
본문
한자1
[大乘顯識經]
한자2
ⓢ
Bhadrapālaśreṣṭhiparipṛcchāsūtra
ⓟ
ⓣ
뜻(설명)
2권. K49, T347. 당(唐)나라 때인 680년 지바가라(地婆訶羅, Divākara)가 동경(東京) 동태원사(東太原寺)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현식경』이라고 한다. 부처님이 아난의 질문을 받아 설법하는 내용으로 현호라는 사람이 지금의 부(富)를 누리게 된 까닭은 과거 전생에 낙광(樂光)여래를 잘 받들었던 선근 인연 때문이라고 한다. 그리고 식(識)에 대한 현호의 질문에 부처님께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신다. 바람은 무색 무형이지만 만물을 움직이는 것처럼 식(識) 또한 무색 무형이지만 온갖 인연을 만들어 내는 힘을 가지고 있다. 육체 속에 잠재하고 있는 식(識)은 그 육체가 수명을 다하면 다음 생(生)의 육체로 옮겨 가는데, 이때 식(識)이 전생의 과보를 그대로 지니고 옮겨 가므로 전생에 선(善)을 쌓았으면 내세에 좋은 복을 받게 되지만 전생에 악(惡)을 행했다면 내세에 반드시 나쁜 과보를 초래한다고 한다. 이처럼 이 경에서는 전생과 내생을 잇는 선악 과보의 근원이 바로 식(識)에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이역본으로 『대보적경(大寶積經)』의 제39 현호장자회(賢護長者會)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