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애경
본문
한자1
[大哀經]
한자2
ⓢ
Tathāgatamahākaruṇānirdeśasūtra
ⓟ
ⓣ
뜻(설명)
8권. K72, T398. 서진(西晉)시대인 291년 축법호(竺法護, Dharmarakṣa)가 장안(長安)에서 번역하였다. 별칭으로 『대애경(大愛經)』·『여래대애경(如來大哀經)』이라고도 한다. 전체 28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처님과 보살의 대애민심과 대자비심에 대해 설한 내용이다. 부처님께서 왕사성 영취산에 머무실 때이다. 경에서는 보살이 중생을 구제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세상 모든 것이 공(空)하다는 이치를 깨닫는 것이라며 보살이 갖추어야 할 자질을 설명한다. 그밖에도 각 품마다 중생을 제도해 번뇌를 없애주는 갖가지 인연들이 제시되어 있다. 이역본으로 『대방등대집경(大方等大集經)』의 제1 「영락품(瓔珞品)」과 제2 「다라니자재왕보살품(陀羅尼自在王菩薩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