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운륜청우경
본문
한자1
[大雲輪請雨經]
한자2
ⓢ
Mahāmeghasūtra
ⓟ
ⓣ
뜻(설명)
1) 2권. K166, T991. 수(隋)나라 때인 585년 나련제야사(那連提耶舎, Narendrayaśas)가 번역하였다. 이 경전의 뒷부분에는 제단의 조성법과 화상(畫像)을 그리는 방법 등이 첨부되어 있는데, 이 점을 제외하고는 불공(不空)이 번역한 『대운륜청우경』(K1294)과 내용이 거의 동일하다. 이역본으로 『대방등대운경청우품제육십사(大方等大雲經請雨品第六十四)』, 『대운경청우품제육십사(大雲經請雨品第六十四)』, 『대운륜청우경』(K1294)이 있다. 2) 2권. K1294, T989. 당(唐)나라 때인 746년에서 774년 사이에 불공(不空, Amoghavajra)이 번역하였다. 별칭으로 『대운청우경』·『청우경』이라고도 한다. 비를 내리는 다라니와 54존의 이름을 열거하고, 그것을 외우는 공덕에 대해 설명한다. 이역본으로 『대방등대운경청우품제육십사』, 『대운경청우품제육십사』, 『대운륜청우경(大雲輪請雨經)』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