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대현

본문

한자1
[大賢]
한자2
뜻(설명)
신라시대 승려. 호는 청구사문(青丘沙門)이며, 태현(太賢)이라고도 한다. 경덕왕 때 활동한 승려로 유가종(瑜伽宗)의 시조이다. 당나라에 가서 유식불교를 공부하고 경덕왕 때 귀국해 경주 남산에 있던 용장사(茸長寺)에 머물렀다. 그의 사상은 원측(圓測)과 원측의 제자인 도증(道證)을 계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752년(경덕왕 11)에는 가뭄이 심해지자 『금광명경(金光明經)』을 강술한 후 향로를 들고 주문을 외웠는데, 우물물이 솟구쳤다고 한다. 남산 용장사에 있을 때 돌미륵을 돌면 미륵도 따라서 얼굴을 돌렸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경·율·논에 깊어서 많은 저술을 남겼으며 원효, 경흥과 함께 신라의 3대 저술가로 손꼽힌다. 저술이 50여 종 100여 권이라고 하지만 현존하는 것은 5종뿐이며, 그의 저술 가운데 고적기(古跡記)라는 이름이 붙은 것이 많다는 특징이 있다. 법상종의 전량(詮量)은 그 이치가 깊어서 분석하기 어려운 것인데, 대현이 홀로 『성유식론학기(成唯識論學記)』를 지어 그릇된 점을 고치고 깊은 이치를 열어 놓았기에 우리나라의 후진과 중국의 학자들이 모두 그것으로 안목을 삼았다. 저서는 먼저 경(經)에 관한 것으로 『화엄경고적기(華嚴經古迹記)』 10권, 『법화경(法華經)고적기』 4권, 『무량수경(無量壽經)고적기』 1권,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고적기』 1권, 『아미타경(阿彌陀經)고적기』 1권, 『칭찬정토경(稱讚淨土經)고적기』 1권, 『정토총료간(淨土總料簡)』 1권, 『열반경(涅槃經)고적기』 8권, 『반야이취분경주(般若理趣分經注)』 2권, 『금강반야경(金剛般若經)고적기』 1권, 『신역금강반야경(新譯金剛般若經)고적기』 1권, 『인왕반야경(仁王般若經)고적기』 1권, 『반야심경(般若心經)고적기』 1권, 『반야심경주(般若心經注)』 2권, 『약사본원경(藥師本願經)고적기』 2권, 『미륵상생경(彌勒上生經)고적기』 1권, 『미륵하생경(彌勒下生經)고적기』 1권, 『미륵성불경(彌勒成佛經)고적기』 1권, 『금광명경술기(金光明經述記)』 4권, 『금광명경료간(金光明經料簡)』 1권 등 20종이 있으며, 율(律)에 관한 것으로 『유가계본종요(瑜伽戒本宗要)』 1권, 『범망경(梵網經)고적기』 3권, 『범망경보살계본종요(梵網經菩薩戒本宗要)』 1권 등 3종이 있다. 논(論)에 관한 것으로는 『유가론(瑜伽論)고적기』 4권, 『유가론찬요(瑜伽論撰要)』 3권, 『성유식론(成唯識論)고적기』 10권, 『성유식론결택(成唯識論決擇)』 1권, 『불지론(佛地論)고적기』 1권, 『광백론(廣百論)고적기』 1권, 『장진론(掌珍論)고적 기』 1권, 『광석본모송(廣釋本母頌)』 3권, 『유식이십송(唯識二十頌)고적기』 1권, 『섭대승론세친석론(攝大乘論世親釋論)고적기』 1권, 『섭대승론무성석론(攝大乘論無性釋論)고적기』 1권, 『중변론(中邊論)고적기』 1권, 『변 중변론(辨中邊論)고적기』 1권, 『인명입정리론기(因明入正理論記)』 1권, 『인명입정리론(因明入正理論)고적 기』 1권, 『인명입정리론학기(因明入正理論學記)』 1권, 『인명정리문론(因明正理文論)고적기』 1권, 『현양론(顯揚論)고적기』 2권, 『잡집론(雜集論)고적기』 4권, 『보살장아비달마고적합집(菩薩藏阿毘達磨古迹合集)』 17권, 『성업론(成業論)고적기』 1권, 『오온론(五蘊論)고적기』 1권, 『백법론(百法論)고적기』 1권, 『관소연연론(觀所緣緣論)고적기』 1권, 『기신론내의약탐기(起信論內義略探記)』 1권, 『법원의림대승심로장(法苑義林大乘心路章)』 2권, 『법원의림석명장(法苑義林釋名章)』 1권, 『대승일미장(大乘一味章)』 1권, 『대법론(對法論)고적기』 4권 등 29종이다. 현재 남아 있는 것은 『범망경고적기』, 『범망경보살계본종요』, 『약사본원경고적기』, 『성유식론고적기』, 『기신론내의약탐기』 등 5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