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대흥사

본문

한자1
[大興寺]
한자2
뜻(설명)
1)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두륜산에 있는 사찰. 지금의 대흥사(大興寺). 백제 546년(성왕 24) 신라의 진흥왕이 어머니 소지부인(昭只夫人)을 위하여 창건. 조선 1788년(정조 12) 서산대사(西山大師)의 팔도십륙종도총섭(八道十六宗都總攝) 교지(敎旨)와 의발(衣鉢)을 간직한 절이라 하여, 표충사(表忠祠)라 하였다.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이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 대둔사. 2) 경기도 개풍군 영북면(지금의 황해도 개성시) 고덕리 천마산에 있던 사찰로 고려 921년(태조 4) 오관산에 창건하였다. 1354년(공민왕 3) 나옹(懶翁)이 천마산에 옮겨 짓고 대흥사라고 개칭하였다. 중간에 없어졌다가 1676년(숙종 2) 희연(煕衍)·형관(泂寛) 등이 중건했다. 3)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황정리 회령에 있던 사찰. 신라 646년(선덕여왕 15) 자장(慈藏)이 양산 통도사와 함께 세웠다고 전해진다. 4)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봉화산에 있는 사찰. 진천군의 옛 지명이었던 상산군(常山郡)의 군지(郡誌)인 『상산지(常山誌)』에는 원래 고려시대의 절터가 있던 곳에 조선 후기에 참의였던 조중우(趙重愚)가 창건하고 사찰명을 영은암이라 했으며, 1907년에 조창호(趙昌鎬)가 중건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 후 1954년에 승려 김학수가 다시 중수하였다. 5) 전라북도 남원시 지리산에 있던 사찰로 파근사(波根寺)를 가리킨다. 6) 전라남도 순천시 월등면 월룡리 봉독산에 있는 사찰. 7) 경상남도 창녕군 영취산에 있던 사찰. 8) 경상남도 하동군 동남 고리리에 있던 사찰. 9) 경상북도 경산시 금학산에 있던 사찰로 신라 원효(元曉)가 창건해 원통암이라고 불렀다.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숙종 연간에 수기(守機)가 중창하고 대흥사라고 개칭했으나 1800년경 폐사되었다고 한다. 10) 경상북도 칠곡군 서학산에 있던 사찰. 11) 경상북도 울진군 삼화면 정림리에 있던 사찰. 12) 함경남도 정평군 정암산에 있던 사찰. 13) 함경남도 단천군 가퇴산에 있던 사찰. 14) 함경북도 경성군 용성면 직동에 있던 사찰. 15) 함경북도 회령군 어운동에 있던 사찰. 16) 평안북도 용천군 용골성 안에 있던 사찰. 17) 황해도 황주군 정방산에 있던 사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