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도림사

본문

한자1
[道林寺]
한자2
뜻(설명)
1) 충청남도 청양군 칠갑산에 있던 사찰. 도림사의 내력을 자세히 알 수 없으나,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 남아 있고 『동국여지승람』에 ‘도림사재칠갑산(道林寺在七甲山)’이라는 기록이 있어 고려시대에 창건되어 조선시대까지 유지된 사찰인 것으로 추측된다. 2)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면 월봉리 봉악산에 있는 사찰. 660년(무열왕 7) 원효가 창건했는데, 절을 지을 때 풍악 소리가 온 산을 진동해서 산 이름을 동악산(動樂山)이라고 했고, 절에 도인(道人)들이 숲처럼 모여들어 도림사라는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그 후 876년(헌강왕 2)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중건하고 지환(知還)이 중창했으며, 조선 말 처익(處益, 1813~1888)이 산내 암자인 길상암과 나한전을 지었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19호인 도림사괘불이 있으며, 절 일원이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2호로 지정되어 있다. 3) 경상북도 경주시 내동면 구황리에 있던 사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