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선
본문
한자1
[道宣]
한자2
ⓢ
ⓟ
ⓣ
뜻(설명)
(596~667) 중국 남산율종(南山律宗)의 시조로 속성은 전(錢)씨이다. 절강성(浙江省) 오흥(呉興) 장성(長城) 출신이라는 설이 유력하지만 강소성(江蘇省) 단도(丹徒) 사람이라는 설도 있다. 16세에 지수율사(智首律師)에게 비구계를 받고 율전(律典)을 배웠다. 624년(무덕 7) 종남산(終南山) 방장곡(倣掌穀)에 들어가 백천사(白泉寺)를 짓고 계율을 엄하게 지키며 선(禪)을 닦았으므로, 세상에서 남산율사(南山律師)라고 불렀다. 645년(정관 19) 현장(玄奘)이 귀국하여 홍복사(弘福寺)에서 역경 사업을 진행할 때, 감문가(勘文家)가 되어 수백 권의 율부와 전기를 썼다. 특히 『사분율(四分律)』을 근거로 한 사분율종(四分律宗)을 일으켜 세웠는데, 남산율종이라고도 불렀다. 667년(건봉 2) 10월에 세수 72세로 입적하였다. 저서로 『속고승전(續高僧傳)』, 『광홍명집(廣弘明集)』, 『대당내전록(大唐內典錄)』, 『사분율행사초(四分律行事鈔)』 등 방대한 양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