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성암
본문
한자1
[道成庵]
한자2
ⓢ
ⓟ
ⓣ
뜻(설명)
1) 경상북도 달성군 유가면 양리 비슬산 유가사의 부속암자이다. 신라 827년(흥덕왕 2) 도성(道成)이 창건했다. 982년(성종 1) 성범(成梵)이 중창하고 만일미타도량(萬日彌陀道場)을 개설했는데, 여러 가지 상서로운 일이 있었다. 고려 초 이후의 역사는 전해지지 않지만, 예로부터 ‘천인득도지(天人得道地)’로 불릴 만큼 참선 도량으로 이름이 나 있다. 2)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도솔산 선운사의 부속 암자로 신라 때 창건하여 1568년(선조 1) 첫 번째 중창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3) 경상남도 합천군 국사봉에 있던 사찰. 4)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송현리 화왕산에 있는 사찰로 신라 810년(현덕왕 2) 지월선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지만, 정확하지 않으며 이후로도 연혁에 대해 알려진 바가 없다. 조선 1797년(정조 21) 중창했다는 기록이 있다. 5) 경기도 고양시 숭인면 가오리 삼각산에 있는 사찰로서 1926년 창건되었다. 6) 강원도 고성군 박달산 원통암 동쪽에 있던 사찰. 7) 강원도 김화군 굴암(窟庵)에 있던 사찰. 8) 황해도 해주시 북숭산에 있던 사찰로 도성암(道星庵)이라고도 한다.